日반도체 부활 시동 키옥시아 상장…경쟁사 삼성·SK 촉각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日반도체 부활 시동 키옥시아 상장…경쟁사 삼성·SK 촉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8회 작성일 24-12-18 20:22

본문

자금 조달해 AI용 낸드 투자 계획…"삼성·SK 따라잡기는 쉽지 않아"

日반도체 부활 시동 키옥시아 상장…경쟁사 삼성·SK 촉각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강태우 기자 = 일본 낸드플래시 생산업체 키옥시아홀딩스옛 도시바메모리가 상장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1·2위를 굳건히 지키는 낸드 경쟁 구도의 변화 가능성과 함께 침체한 일본 반도체 산업의 부활을 끌어낼지가 관전 포인트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이날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시장에 상장하면서 성공적으로 주식시장에 데뷔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반도체 불황 지속에도 키옥시아는 내년 이후 인공지능AI용 낸드 수요 증가를 전망하고 상장을 결정했다.

키옥시아는 기업공개IPO로 조달한 자금을 AI 서버용 낸드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를 비롯한 최첨단 메모리를 생산하는 시설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낸드 시장은 수요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eSSD 등 AI용 제품 수요만 견조한 편이다. 키옥시아가 AI용 낸드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집계 기준 올해 3분기 낸드 시장 점유율은 1위 삼성전자 35.2%, 2위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 20.6%, 3위 키옥시아 15.1% 순이다.

점유율 숫자만 보면 SK하이닉스와 키옥시아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기술력에서 차이가 큰 만큼 당장 경쟁 구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상장 첫날인 이날 종가 기준 키옥시아의 시가총액은 8천360억엔약 8조1천억원으로, 삼성전자327조7천411억원나 SK하이닉스133조5천884억원 대비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키옥시아가 상장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은 있지만, 갑자기 낸드 메모리에서 삼성이나 SK하이닉스 갑자기 따라잡는 식의 일은 쉽게 나타나기 어렵다"며 "다만 상장 후 키옥시아가 발표할 전략이나 계획을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키옥시아의 상장이 일본 반도체 부활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주목하고 있다.

1980년대에 세계 시장을 석권한 일본 반도체 산업은 한국과 대만에 밀려 쇠락했으나, 최근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부활을 시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1년부터 민관이 참여하는 공동사업체를 신설하고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검토회의를 가동하는 등 경제 안보 차원에서 반도체 생산 기반 정비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정부 지원을 받아 일본 8개 대기업의 출자로 2022년 설립된 반도체 회사 라피더스는 2027년까지 2나노 공정을 개발해 칩을 생산하겠다고 선언했다. 키옥시아도 라피더스에 투자자로 참여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키옥시아는 일본 입장에서는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는 회사인데 상장으로 인해 그런 리스크는 줄어들었다"며 "그런 의미에서 일본 반도체 산업이 부활을 시도하면서 조금 자리 잡았다고 보게 되는 부분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상황에서는 상장 여부가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며 "상장을 통해 재정적 자립과 안정화가 되는 부분은 있지만, 갑자기 캐파생산능력나 매출이 늘어나는 등의 눈에 띄는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rice@yna.co.kr, burnin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배우 서효림, 전 소속사로부터 1억원 상당 출연료 못 받아
"부의금은 5만원이면 충분하다"…성균관유도회 권고
배우 김승우, 유승안 현 회장 제치고 리틀야구연맹 회장 당선
이역만리서 마주친 드론에 북한군 떼죽음…연일 최전선 투입
계엄지휘관 모두 구속한 검찰…계엄의 시작 집중 추궁
마스터키로 객실 들어가 투숙객 성폭행 호텔 직원 징역 6년→7년
이준석-허은아 충돌…李, 측근 경질한 許에 "결자해지하라"
"빨리빨리 문화가 이번에도…" 블룸버그, 韓 계엄정국 조명
野보고서, 한동훈 암살조 김어준 주장에 "상당한 허구 가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00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79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