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물건 5% 오를 때 저가 상품은 16%↑…인플레도 양극화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 달 서울의 한 대형마트 라면 매대. /연합뉴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연구보고서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평등’에 따르면 상품 가격을 분위별로 나눠 측정한 결과 저가 상품의 가격이 더 크게 오르는 경향이 나타났다. 보고서는 우선 동일 품목내 상품들을 평균 가격에 따라 1분위부터 4분위로 구분했다. 4분위로 갈수록 가격이 더 비싸다. 품목은 가공식품 판매지수를 기준으로 했다. 가공식품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이후 특히 가격 상승률이 높았고, 매출액 중 차지하는 판매비중도 높아 추이를 더 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분위별로 누적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저가 상품인 1분위 가격 상승률은 16.4%에 달한 반면, 고가 상품인 4분위의 가격 상승률은 5.6%에 그쳤다. 특히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을 비교 했더니,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는 분위간 상승률 차이가 미미했으나 인플레이션 급등기에 격차가 더 크게 벌어졌다. 반대로 2023년부터는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는 디스인플레이션으로 1분위 상품의 가격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했다.
보고서는 칩플레이션의 원인을 크게 수요와 공급 측면 두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우선 공급 측면의 경우 팬데믹 이후 수입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이 더 높았을 것이란 추정이다. 저가 상품이 마진이 작기 때문에 비용에 더 큰 충격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둘째로 수요 측면에서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가격이 저렴한 상품으로 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가계는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는 부담을 덜기 위해 이전에 구매하던 것과 비슷하지만 더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칩플레이션이 가계 소득계층 간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물가 격차를 벌려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분석했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이 평소 구매하는 품목이 동일하더라도, 저소득층은 더 저렴한 물건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각 소득계층이 같은 품목에서 저가, 고가 상품에 대해 얼마나 지출하는 지를 추정해 실효물가를 비교해봤더니 2019년4분기부터 2023년 3분기까지 하위 20% 저소득층의 실효 물가 누적 상승률은 13%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상위 20% 고소득층의 실효 물가 누적상승률11.7%에 비해 1.3%포인트 높았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최아리 기자 usimjo@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11만 달러 바라보는 비트코인, 잠시 주춤 24.12.18
- 다음글혼인신고 당기고, 성과급은 연금계좌에…연말정산 세테크 꿀팁 24.1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