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차 뽑기 부담됐나…올해 국내 신차 등록 11년 만에 최저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 한 주차장에 주차된 하이브리드 차량. 연합뉴스
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금리 기조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이 내수에 악영향을 미친 가운데 경유차 등 내연기관차를 찾는 소비자가 크게 준 것이 등록 감소 이유로 지목된다.
17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49만833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59만6004대보다 6.1%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등록 대수는 164만대 정도로 예상되는데, 이는 2013년 154만3565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하게 되는 셈이다.
자동차 업계의 탈탄소화 여파로 기존 내연기관차 등록은 크게 줄어든 반면, 그 자리를 메워야 할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 등록은 그만큼 늘지 못한 것이 전체 등록 대수를 끌어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차 등록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휘발유차는 올해 1∼11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5%76만9919대→62만7835대 줄었다. 경유차는 27만4252대에서 11만7931대로 57.0% 급감했다. 휘발유차와 경유차 등록 대수의 총 감소량은 30만대에 이른다.
반면 올해 1∼11월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45만5468대로 역대 최다였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35만3637과 비교해서는 10만2000대28.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기차 등록 대수는 지난해 1∼11월 14만9857대에서 올해 1∼11월 13만8921대로 7.3%1만936대 감소했다.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2015년 183만4000대로 처음으로 180만대를 넘은 이후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190만6000대까지 증가했다. 이후 2021년 173만5000대, 2022년 168만4000대, 지난해 172만대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KAMA 관계자는 “계속되는 경기 부진과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이 내수 부진에 영향을 미친 거로 보인다”며 “올해 하반기 임금 및 단체협상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생산이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도 이유로 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재현 기자 jaynews@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국민의힘 당원 안 하겠습니다”
· ‘명태균 황금폰’ 박주민 선택 이유 “의원 명단 보다가…”
· 학생들 방청중인데…‘비상계엄’ 비판에 국민의힘 의원들 우르르 ‘퇴장’
· [속보]헌재 “대통령 권한대행 재판관 임명, 황교안 때 사례 있어”
· ‘친한’ 조경태, “‘한동훈 사살’ 제보, 진상규명 돼야”
· 국힘 대변인 “사퇴해야 할 사람들이 지도부 사퇴하게 만들어” 친윤계 직격
· [속보]헌재, 윤석열 대통령에게 3가지 방법으로 답변서 제출 요구
· ‘인천 스토킹 살해’ 남성, 대법서 징역 30년 확정
· 인권위 “아스팔트 바닥에 노조 간부 얼굴 짓눌러 수갑 채운 경찰 행위는 인권침해”
· 트럼프 “소프트뱅크 1000억달러 투자 약속”…일본은 발빠른 행보, 한국은 대미 외교 차질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해제, 탄핵 순간 사라진 국회의원은 누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최상목 "계엄 책임통감…경제 안정관리 후 직 내려놓을 것"상보 24.12.17
- 다음글AI에 돈 쓰느라 직원들 공짜 마사지·공짜 밥 중단 24.1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