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초고속 충전 시 과열 방지하는 진동형 히트파이프 상용화 나...
페이지 정보

본문
![]() |
사진=현대모비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배터리 냉각 기술의 새 장을 열었다.
17일 현대모비스는 초고속 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과열을 방지하는 혁신적인 배터리셀 냉각 소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기술 개발로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냉각 기술을 확보하게 됐으며, 이를 상용화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진동형 히트파이프Pulsating Heat Pipe로 명명된 이 신소재는 알루미늄 합금과 냉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재는 배터리셀 사이에 배치되어 급속 충전 시 급격히 상승하는 배터리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준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이 기술을 통해 초고속 충전 시에도 안정적인 열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는 전기차 충전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히트파이프는 열 전달 효율을 높이는 금속관 형태의 열전도체로, 컴퓨터 CPU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냉각에 사용되는 고성능 방열 소재다.
특히 진동형 히트파이프는 내부에서 냉매가 진동과 순환을 하며 열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적용해도 중력에 의한 성능 저하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진동형 히트파이프는 일반 알루미늄 대비 10배 이상의 열전달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과열된 배터리셀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킨다.
업계 전문가들은 차량용 배터리 냉각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양산 준비를 완료한 것은 현대모비스가 최초라고 평가하고 있다.
배터리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모듈BMA에서 배터리셀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모비스는 이 배터리셀 사이에 진동형 히트파이프를 겹겹이 배치하여, 각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블록으로 신속히 전달함으로써 모듈 단계에서 내부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생산 효율성도 고려했다. 대량 연속 생산이 가능한 프레스 공법을 적용해 진동형 히트파이프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췄다.
또한, 차량용 배터리에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두께를 0.8mm로 줄여, 일반 히트파이프약 6mm에 비해 현저히 얇고 넓은 면적의 제품을 구현해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이번 기술 개발은 전기차의 실용성과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호출 갑질 카카오모빌리티, 과징금 724억→151억원으로 감액
▶ 검찰, 채권 돌려막기 의혹 미래·한투·NH證 등 8곳 압수수색 : 알파경제TV
▶ 두산밥캣 “주주환원율 40%, 2030년 매출 16조” 기업가치 제고 발표 : 알파경제TV
▶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인수…한신평 ”시너지와 재무 부담 공존” : 알파경제TV
▶ 크리에이터 윤혜수, 결혼 6개월 만에 임신 소식
/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
관련링크
- 이전글"한국 시장 정상 작동합니다" 日 날아가 국내 상황 설명한 금감원장 24.12.17
- 다음글서울시내 67곳,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 묶였다 24.1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