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명 넘게 퇴직연금 헐어 집 샀다…작년 45% 늘어 역대 최다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주택 구입을 위해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가입자가 3만명을 넘기며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44.7% 증가한 규모다. 직장인들이 노후를 뒷받침할 재원인 퇴직연금을 헐어 부동산에 쏟아붓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이 둔화하면 국민들의 노후 생계에 경고장이 날아들 수도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3 퇴직연금통계’를 보면, 지난해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가입자는 6만3783명으로 1년 전보다 28.1% 증가했다. 중도인출자 중 절반52.7%·3만3612명은 자금을 ‘주택 구입’을 위해 쓴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만에 44.7% 늘어난 규모인데,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래 역대 최다 인원이다. 주택 구입을 위한 중도인출 금액도 1조5217억원전체 2조4404억원 중 62.4%으로, 1년 전보다 56.9% 증가했다.
불과 1년 만에 퇴직연금 중도인출자와 금액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지난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던 부동산 시장과 관련이 있다.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1년 전보다 9.1% 증가했고 그 중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7.9% 늘어났다. 2021년 하반기부터 침체기로 접어든 부동산 시장이 되살아나기 시작한 것이다. 과거 시계열을 봐도 부동산 급등기인 2020년 주택 구입을 위한 퇴직연금 중도인출자는 1년 전보다 32.7% 늘어난 2만9231명으로, 중도인출금액1조212억원 역시 1년 전보다 44.6% 증가했다. 부동산 침체기였던 2022년엔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자와 금액이 각각 전년 대비 22%, 23.4%씩 감소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단기간에 기준금리가 상승하며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상황도 연금 중도인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행정통계과 관계자는 “대출금리 부담이 커지면서 은행 대출 대신 연금으로 쌓아둔 돈에서 먼저 꺼내 쓰는 게 낫겠다고 판단한 가입자가 많았던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주택을 구입하는 주요 연령대인 30대42.4%와 40대33.3%에서 중도인출자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대 이하주거 임차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이 가장 많았다.
한편, 지난해 전체 퇴직연금 적립액은 381조원으로 1년 전335조원보다 13.9% 늘었다. 종류에 따라서는 확정급여형DB이 53.7%, 확정기여형DC이 26.2%, 개인형 퇴직연금IRP이 20%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개인형 퇴직연금은 1년 전보다 가입 인원이 7% 늘고, 적립액도 30.9% 급증하며 전체 구성비 비중도 2.6%포인트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개인형 퇴직연금 신규 가입이 증가한 데다 지난해 세액공제 한도가 확대700만원→900만원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속보] 한동훈 대표직 사퇴…“탄핵 찬성 후회하지 않는다”
명태균 쪽 “폰에 윤석열 ‘윤상현에 공천 지시’ 미공개 대화 있다”
이재명 “국힘, 주도권 다 가져도 좋다…국정협의체 참여해주길”
계엄썰 푼다… [윤튜브 관저 LIVE]
노벨상 작가 오르한 파묵 “대통령에게 화내는 한국인들, 존경 표한다”
잃어버린 표정 되찾자 떠난 태완 또는 타이왕, 그가 남긴 것…
유승민 “우리가 조폭이냐…국힘, 윤석열 끝까지 감싸”
[단독] 윤석열, 검찰 조사 출석거부 사유 “변호사 선임 안 끝나”
한동훈 대표는 왜 실패했나? [뉴스뷰리핑]
[단독] 박선영 진화위원장 첫 위원회 안건 평소의 2.5배…‘독단’ 예고?
한겨레>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관련링크
- 이전글KB라이프생명, 연말 맞아 손편지로 이웃에 마음 나눔 24.12.16
- 다음글호텔 더 보타닉 세운 명동, 오는 20일 그랜드 오픈 24.1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