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PPP 수주 대세···정부·기업 진출 잰걸음
페이지 정보
본문
중동·북아프리카 연평균 27% 성장
해외인프라 개발 사업자 신청 접수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 신도시 조감도. [사진=대우건설]
중동 등 해외건설시장에서 최근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PPP의 비중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정부도 올해 해외 PPP 수주를 위한 지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도 성장세에 발맞춰 PPP를 새로운 캐시카우로 점찍고, PPP 사업 수주 다각화에 나서는 중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인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지난 5월 31일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 타당성조사 자금지원 사업’ 공모를 공고하고, 7월 5일까지 신청 대상 지원 접수를 받고 있다. 해외건설사업자가 사업주 형태로 개발과 건설, 운영관리에 참여하는 PPP 형태의 해외 인프라·도시개발사업이 지원 대상이다. PPP 사업 타당성 조사 자금지원은 지난해 처음 신설됐다. KIND 관계자에 따르면 공사는 올해 하반기에는 해외 PPP 사업 진출을 위한 컨설팅 지원 사업도 추가로 진행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지난 4월 사상 처음으로 해외 도시개발사업 수주 전담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특성화 대학 개강을 통해 PPP 전문인력 육성 사업에서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올해 해외 PPP 사업 수주에 대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 데에는 최근 중동과 아시아·아프리카 등 주요 해외 건설시장 발주 형태 유형이 가시화되고 있는 탓으로 풀이된다. PPP는 사업참여자가 사업 비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부담하는 대신, 지분에 따라 투자자금을 직접 회수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단순 도급 대비 고부가가치인 사업방식이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중동·북아프리카 건설시장의 경우, 기존 정부 재정 사업 중심에서 PPP 형태 사업으로 발주 패턴 자체가 전환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해외건설협회가 중동지역 경제전문지 미드MEED 통계를 인용한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올해 4월까지 약 10년간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PPP 프로젝트 사업 규모는 연평균 약 27%씩 성장했다. 프로젝트 건수도 같은 기간 연평균 13%씩 증가했다. 특히 이들 지역의 지난해 PPP 사업 계약액은 약 213억 달러로 전년의 181억 달러 대비 17.7% 가까이 시장이 확대됐다. 지역 별로는 특히 국내 건설업체가 주로 진출한 사우디아리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국가가 PPP 발주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중동 국가별 PPP 계약액을 보면 사우디아라비아 내 계약 규모는 116억 달러, UAE 지역은 57억 달러로 지난해 PPP 전체 계약액의 81.2%를 이들 나라가 점유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도 PPP에 대한 정부 지원과 시장 변화를 주시하며 수주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지난해 기준 중동 지역의 공종별 PPP 계약액을 보면 물산업 인프라 55%, 교통·발전 시설이 6% 수준으로, 담수화·발전 기술에서 강점을 가진 국내 건설업계의 수주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다만 해외건설통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PPP 사업이 국내 전체 해외건설 수주에서 차지하는 연간 비중은 5.4%다. 2014~2018년의 연간 수주 비중 3.2%보다는 늘었지만 아직 비중이 낮은 실정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베트남 하노이 신도시 복합개발사업이나 오만 등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 등 도시개발부터 플랜트까지 PPP 수주 공종이 다양화되고 있지만, 아직 도급 사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며 “다만 담수 사업이나 중동 개발 경험이 풍부한 업체의 경우 기술력을 토대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우주성 기자 wjs89@ajunews.com ★관련기사 최명서 영월군수, 핵심 현안 해결을 위한 기획재정부 및 국토교통부 면담 임이자 의원, 공약이행 위해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면담 만나플러스, 국토교통부·경찰청·교통안전공단과 안전 문화 조성 위한 협약 진행 ★추천기사 312만 유튜버 김계란, 교통사고로 머리어깨 골절..."인생 억까" [단독] 조직 체질개선 시동건 SK...실적부진 SK온, 고위급 인사 검토 [슬라이드 포토] 카리나 칼날 제구로 완벽 시구...하늘색 인파 만원 반도체 생산 차질 없었지만…민노총식 무력시위 삼성전자로 확대되나 네이버, 사용시간·검색 점유율 나란히 후퇴…입지 흔들리나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
관련링크
- 이전글임금체불 올들어 40% 급증…피해 지원 늘린다 24.06.10
- 다음글대미 수출, 22년만에 중국 추월하나…대기업은 이미 역전 24.06.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