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5년 희비, 전영현 공들이는 HBM4서 결정된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삼성전자 2025년 희비, 전영현 공들이는 HBM4서 결정된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0회 작성일 24-12-16 15:26

본문

삼성전자 2025년 희비, 전영현 공들이는 HBM4서 결정된다
18일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NRD-K 설비반입식에서 전영현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 겸 부회장이 기념사를 하는 모습. / 사진=삼성전자

[딜사이트경제TV 황재희 기자]삼성전자 반도체 수장인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의 2025년 최대 과제는 HBM고대역폭메모리 리더십 회복이다. 전 부회장이 메모리사업부 부장까지 겸임하고 있는 것 또한 HBM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려 메모리 1등 자리를 되찾겠다라는 강력한 의지로 해석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는 전영현 부회장의 주도 하에 HBM4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HBM4는 경쟁사인 SK하이닉스도 개발 중인 제품으로, 삼성전자는 2025년 양상을 목표로 개발 피치를 올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품질테스트조차끝나지 않은 5세대 HBM3E 대신 6세대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건 미래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의5세대 HBM3E 8단과 12단 제품은 연내 엔비디아와 공급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점쳐질 만큼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한 상태다. 다만 해당 시장은SK하이닉스가 앞서 선점했다. 이에 삼성전자 입장에선 엔비디아에 제품을 본격적으로 납품해도 얻을 수 있는 실익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더 큰 파이를 차지하기 위해 미래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셈이다.

반도체 업계관계자도"6세대 HBM은 5세대와 기술적 연계성이 낮아 경쟁사보다 더 빨리 개발할 경우 납품을 조기 성공시킬 수있다"며 "삼성전자 입장에서는이미 5세대는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1, 2위 벤더사를 내준 상황이라가져가는 물량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니 6세대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2025년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의 반등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경쟁사 대비 HBM4를 먼저 선보이면그간 잃었던 1위 사업자 지위를 되찾는 동시에 눈에 띄는 실적 개선을 일구겠지만 반대의 경우 현재보다 혹독한 암흑기가 펼쳐질 가능성을 높게 점쳐서다.

이에 전영현 부회장 역시올해 반도체 수장으로 부임하자마자 DS 조직내 흩어져 있던 HBM 인력을 끌어모아 전담팀을 만들고 관련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선 것 아니겠냐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아울러전 부회장이 어드밴스드패키징AVP 사업부를 직속 배치한 것 역시HBM4 기술 고도화 차원으로 관측 중이다.HBM4부터는 맞춤형 반도체를 다양한 형태의 패키지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내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는 HBM제품에서 역전은 아니더라도 경쟁사와 동등 수준까지 끌어올리는게 절체절명의 과제일 것"이라며"SK하이닉스가 HBM에서 워낙 선전하고 있는 데다대내외 경영환경이 불안정하다보니 쉽지 만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DealSite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67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17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