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1조 클럽 직원 생산성·평균 급여 1위 기업은
페이지 정보

본문
제약바이오 9개 1조 클럽 직원 생산성 비교 19배 차

지난해 매출 1조원 클럽을 달성한 제약·바이오 기업은 모두 9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들의 직원 생산성 격차는 19배나 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작년 1조원 이상 매출을 올려 이른바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유한양행, GC녹십자, 광동제약, 종근당, 한미약품, 대웅제약, 보령 9곳이었다. 지난해 1조5000억원 이상 매출을 올린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연결 기준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실적에 포함됐다.
이들 업체 간 매출 차이는 최대 4.5배 수준이었지만 직원 1인당 생산성에서는 차이가 19배로 벌어졌다.
9대 대형사 중 직원 생산성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다. 직원 5011명의 1인당 영업이익은 2억6344만원을 기록했다. 직원수 2901명인 셀트리온은 1인당 생산성이 1억6960만원으로 2위를 기록했고, 한미약품9054만원, 대웅제약8456만원이 뒤를 이었다.
보령과 종근당이 각각 4283만원과 4259만원으로 4000만원대였고 광동제약2808만원, 유한양행2593만원, GC녹십자1363만원 순이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GC녹십자 간 생산성 격차는 19.3배에 달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영업이익이 2022년 9836억원에서 2023년 1조1137억원, 작년 1조3200억원으로 늘었다.
반면 GC녹십자는 2022년 8126억원이던 영업이익이 2023년 코로나19의 엔데믹 전환에 따른 독감 백신 사업 부진 등으로 3444억원으로 급감했고 작년에는 3211억원으로 추가 하락했다. GC녹십자가 2023년 말 실적 부진 상황 속에서 전체 팀 수를 10% 줄이는 조직 통폐합과 인력 감축을 추진했지만 전체 직원 수가 2023년 2272명에서 작년 2355명으로 오히려 늘어나면서 1인당 생산성은 둔화했다.

생산성이 가장 높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들은 평균 급여도 대형 업체 중 1위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연간 1억7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셀트리온도 1억300만원으로 1억원대를 기록했다.
유한양행과 종근당이 각각 9700만원과 8100만원이었으며 한미약품, 보령, 광동제약, GC녹십자는 7000만원대였다. 대웅제약은 6900만원대로 가장 낮았다.
제약바이오업계 경영진 보수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가 79억1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43억7700만원이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와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가 각각 12억7300만원과 10억9400만원으로 10억원대를 기록했다. 최성원 광동제약 회장은 9억6천200만원, 장두현 전 보령 대표는 9억4600만원이었다.
김두용 기자
▶ 관련기사 ◀
☞ 박경림 “조인성→박수홍, 열애설 상대들 어마어마…최진혁 영광인 줄 알길” 아는형님
☞ 하정우, ‘붕어빵’ 조카에 남다른 애정… “50살에 결혼하는 것 목표” 전참시
☞ ‘리얼’ 전 감독 “노출 의무 오디션?…난 공식 해명 자격 없어”
☞ ‘황동주 핑크빛’ 이영자 “이사람이라 결혼 생각하게 돼” 깜짝 발언 ‘전참시’
☞ 1988년 이후 처음…경기 시작 초구·초구·초구 홈런, 양키스 9홈런 광란의 하루
☞ 18일 만에 돌아온 김민재, 저격당한 홍명보
☞ 지드래곤 측 “공연지연 안전상 이유…추위 속 기다린 팬들께 감사·사과” [전문]
☞ ‘또또또’ SON 이적설→“기복 있는 모습, 예전 같지 않아…이적료 받고 재투자 가능”
☞ 임종훈-안재현, WTT 첸나이 남자복식 정상…여자복식 신유빈-유한나는 준우승
☞ 스노보드 클로이 김, 4년 만에 세계선수권 여자 하프파이프 우승
[한국 스포츠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 블로그]
[KBO 구단별 마지막 우승 때 데뷔한 가수?]
<ⓒ 일간스포츠. All rights reservedgt;
관련링크
- 이전글비트버니 퀴즈 정답, 3월 30일 돈버는 오늘의 퀴즈 정답 확인 25.03.30
- 다음글"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