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생 X세대, 월평균 624만원 벌어 289만원 쓴다…부모자녀 부양에↑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70년대생 X세대, 월평균 624만원 벌어 289만원 쓴다…부모자녀 부양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6회 작성일 24-12-16 14:45

본문

우리금융, 2024 트렌드 보고서 ‘X세대의 생활’ 발간
1970년대에 태어난 ‘X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624만원으로 가장 많이 버는 세대지만, 소비액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부모와 자녀에 대한 부양 부담으로 본인 노후는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우리금융그룹은 1970년대생을 주목한 ‘2024 트렌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우리금융

/우리금융

이번 보고서는 전국 만 20~69세 1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1970년대에 태어난 ‘X세대’의 특징과 금융 생활을 조명했다. X세대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며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본인의 노후 준비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X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624만원으로 조사됐다. 1980년~1994년에 태어난 밀레니엄M세대나 베이비부머세대보다 100만원 이상 많았다.

X세대의 월평균 소비액은 289만원으로 밀레니엄세대보다 70만원, 베이비부머세대보다 49만원 많았다. X세대의 90%는 소비를 줄이려고 했고, 71%는 추가 소득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고 응답했다.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여부를 묻는 질문에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한다’는 응답은 X세대가 43%로 가장 높았다. M세대는 23%, 베이비부머세대는 22% 수준이었다.

반면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X세대가 15%로 가장 낮았다. M세대는 29%, 베이비부머세대는 40%로 조사됐다. X세대 10명 중 6명은 아직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자산 증여에 대해서는 자녀가 미성년자일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19%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세대 9%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응답을 보였다. 자녀 명의 금융상품 저축률도 X세대 47%, 베이비부머세대 20%로 2.4배 높은 응답을 보여 큰 차이가 있었다.

기성세대로부터 ‘신인류’라고 불렸던 X세대도 이젠 직장에서 이른바 ‘꼰대’ 취급을 받았다. M세대의 61%, Z세대1995년 이후 출생자의 58%는 X세대인 40~50대가 ‘직장 내 빌런’이라고 선택했다.

X세대는 ‘주변에서 나를 꼰대라고 생각한다’에 대해 55%가 동의했다. 세대 차이를 체감하는 비율도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X세대의 절반은 ‘젊게 살기 위해 노력한다’고 답했다. 부장55%과 임원 이상54% 관리자들의 응답이 더 높았다.

이번 보고서는 우리금융이 발간한 첫 트렌드 보고서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X세대를 비롯한 전 세대가 공감하고 미래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드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은선 기자 onsun@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69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17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