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OECD의 경고 "저출생 한국, 소멸의 길 가고 있다"
페이지 정보
본문
파렐리우센 수석이코노미스트
"국민연금 수급 연령 높여야" 빈센트 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분석실장왼쪽과 욘 파렐리우센 OECD 한국 경제 담당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 한국 경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최대 리스크로 ‘저출생’을 지목했다. 파격적인 저출생 대책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노동력 공급 부족과 재정지출 부담으로 한국이 ‘소멸의 길’로 접어들 것이라는 경고다. OECD에서 한국 경제 분석을 맡은 욘 파렐리우센 담당관수석이코노미스트은 1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서면 인터뷰에서 “출산율 저하는 실존적 위협”이라며 “한국은 장기적으로 ‘소멸의 길’on the path to going extinct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파렐리우센 담당관은 OECD가 격년마다 발간하는 한국 경제 보고서의 주 작성자다. 그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빈센트 코엔 OECD 경제검토국 국가분석실장과 함께 ‘2024년 한국경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파렐리우센 담당관은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인 0.72명 상황이 계속 유지된다면 오늘날 부모 세대는 손자 세대의 아홉 배 수준으로 늘어난다”며 “노동력 공급과 정부 재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OECD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도한 보조금 일부를 저출생 대응 예산으로 돌리고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수급 개시 연령 상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빈센트 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분석실장왼쪽과 욘 파렐리우센 OECD 한국 경제 담당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 한국 경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출산율 3배 올라도 노동력 부족…유연한 임금체계 필요"
“출산율이 2040년까지 2.1명인구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출산율으로 세 배 높아진다 해도 노동력이 감소하는 건 막을 수 없습니다. 한국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라는 피할 수 없는 도전에 적응해야 합니다.”
60년 뒤 65세 이상 고령층 58%…GDP 5분의 1 복지로 지출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1일 공개한 ‘2024 한국 경제 보고서’에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저출생 문제가 중점적으로 담겼다. OECD는 회원국 경제 분석 보고서를 2년 주기로 발간하며 특별 주제를 선정하는데 올해는 저출생을 주제로 택했다.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한국의 합계출산율작년 0.72명이 노동력은 물론 연금, 정부 재정 등 한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판단에 따라서다.
○ “가파른 고령화…재정지출 억제해야”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 경제 보고서 발표자로 나선 빈센트 코엔 OECD 경제검토국 국가분석실장은 “한국의 기록적인 저출생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중요한 과제”라며 “출산율이 오르더라도 고령화는 피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OECD는 60년 뒤 한국 인구가 반 토막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층은 전체 인구의 58%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다.
OECD는 일과 가정의 불균형,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 과도한 사교육, 높은 서울 집값 등 구조적 요인이 출산을 가로막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 개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고령화 속도가 가팔라지고 정부 재정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란 게 OECD의 경고다. OECD는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국민연금 등에 투입되는 정부 재정이 206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17.4%로 현재의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고령화 대비를 위한 재정 지출 억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재정 지출 증가가 세금 인상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코엔 국장은 “장기적으로 새로운 세수 원천을 찾아야 한다”며 “OECD 평균19.2%의 절반 수준인 부가가치세세율 10%를 인상하는 등의 방안이 있다”고 했다. OECD는 또 “중소기업에 대한 관대한 보조금의 일부를 전환해 저출생 대응 등 가족 정책 지출 확대에 쓸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해서는 직장인 등 고용보험 가입자에 국한된 육아휴직 대상자를 자영업자를 포함한 전체 노동자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 “기업 정년 단계적 폐지 고려도”
하지만 OECD는 출산율이 회복돼도 노동력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지금부터 출산율이 높아져도 태어난 아이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20~30년 뒤에야 출산율 반등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OECD는 부족한 일손을 메우기 위해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오래 남을 수 있도록 “연공급제에서 벗어나 직무 특성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유연한 임금체계를 도입하고 명예퇴직을 제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별 정년의 단계적 폐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일본과 독일 등으로 번진 해외 인재 유치전에서 뒤지지 않도록 한국도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OECD는 “숙련 이민자의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 OECD는 이날 보고서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과도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코엔 국장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거미줄 같은 지원 제도가 놀랍게도 1646개에 달한다”며 “소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하면 국내 시장에 공정한 경쟁 환경이 조성되고 중소기업 성장을 장려할 수 있다”고 했다. OECD는 지난 5월 2.6%로 제시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했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지난 5월2.6% 대비 0.1%포인트 낮춘 2.5%로 예상했다.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가 확인되면 올 하반기부터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했다. 허세민/박상용 기자 semin@hankyung.com |
관련링크
- 이전글지평주조, 달콤한 프리미엄 막걸리 봄이 출시 24.07.11
- 다음글코스피 시총 역대 최대에도 지수는 글쎄···"쪼개기 상장이 문제" 24.07.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