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行 청년, 돈은 많이 벌지만…"어쩌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연간 소득이 35% 더 많지만, 삶의 행복감은 더 낮고 번 아웃소진 경험도 더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동남지방통계청 울산사무소 심채연 팀장과 정준호 주무관은 26일 발간된 통계청 통계플러스 가을호에서 이런 분석을 발표했다.
이들은 19세 이상 34세 이하를 청년으로 분류하고,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머무르는 청년을 비교했다.
2022년 기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연간 총소득은 2천743만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소득 2천34만원보다 34.9%709만원 더 많았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취업 비율도 72.5%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4%보다 6.1%포인트p 높았다. 이는 수도권에 남은 청년70.7%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0.6%의 취업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것과 대조된다.
다만 삶의 질 측면에서는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1인당 주거 면적은 32.4㎡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36.2㎡보다 3.8㎡ 좁았다.
최근 1년 동안 업무·학업·취업 준비 등으로 소진됐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42.0%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9.7%보다 12.3%p 높았다.
건강이 나쁘다고 응답한 비율도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10.9%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1%보다 높았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평균 통근 시간도 더 길었으며, 장시간 근로 경험이 있다는 비율도 더 높았다.
향후 결혼계획에 대해서는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9.2%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76.0%보다 3.2%p 높았다.
다만 향후 자녀를 가질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62.0%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2%보다 낮았다.
2020년 기준 기혼자의 평균 초혼 연령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27.5세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6.8세보다 높았다.
평균 총 출생아 수는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0.84명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1.02명보다 적었다.
삶의 행복감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6.76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92점보다 낮았다.
비수도권 청년이 다양한 일자리와 높은 소득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이동했으나, 장시간 근로와 좁은 주거 면적, 긴 통근 시간 등으로 삶의 행복감은 더 낮아진 모습이라는 게 연구진들의 지적이다.
연구진들은 "치열한 경쟁에 내몰리고 이는 결혼 지연과 출산 기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수도권으로 이동한 청년들의 실제 생활이 마냥 행복한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연간 소득이 35% 더 많지만, 삶의 행복감은 더 낮고 번 아웃소진 경험도 더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동남지방통계청 울산사무소 심채연 팀장과 정준호 주무관은 26일 발간된 통계청 통계플러스 가을호에서 이런 분석을 발표했다.
이들은 19세 이상 34세 이하를 청년으로 분류하고,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머무르는 청년을 비교했다.
2022년 기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연간 총소득은 2천743만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소득 2천34만원보다 34.9%709만원 더 많았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취업 비율도 72.5%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4%보다 6.1%포인트p 높았다. 이는 수도권에 남은 청년70.7%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0.6%의 취업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것과 대조된다.
다만 삶의 질 측면에서는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1인당 주거 면적은 32.4㎡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36.2㎡보다 3.8㎡ 좁았다.
최근 1년 동안 업무·학업·취업 준비 등으로 소진됐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42.0%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9.7%보다 12.3%p 높았다.
건강이 나쁘다고 응답한 비율도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10.9%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1%보다 높았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평균 통근 시간도 더 길었으며, 장시간 근로 경험이 있다는 비율도 더 높았다.
향후 결혼계획에 대해서는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9.2%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76.0%보다 3.2%p 높았다.
다만 향후 자녀를 가질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62.0%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2%보다 낮았다.
2020년 기준 기혼자의 평균 초혼 연령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27.5세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6.8세보다 높았다.
평균 총 출생아 수는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0.84명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1.02명보다 적었다.
삶의 행복감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6.76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92점보다 낮았다.
비수도권 청년이 다양한 일자리와 높은 소득 등을 이유로 수도권으로 이동했으나, 장시간 근로와 좁은 주거 면적, 긴 통근 시간 등으로 삶의 행복감은 더 낮아진 모습이라는 게 연구진들의 지적이다.
연구진들은 "치열한 경쟁에 내몰리고 이는 결혼 지연과 출산 기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수도권으로 이동한 청년들의 실제 생활이 마냥 행복한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포토]이마트, 어메이징 더블더블버거, 블랙통치킨 버거 2종 출시 24.09.25
- 다음글최상목 "일반주주 보호방안 검토…금투세 폐지·거래세 인하 예정대로"종... 24.09.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