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 기업대출 600조 넘어…부실 위험도 살얼음판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 시내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자료사진. ⓒ뉴시스 이 통계는 금융기관들이 제출한 업무보고서에 기재된 실제 대출·연체 등 현황을 집계한 결과다. 비은행권에는 ▲저축은행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 ▲보험사 ▲여신전문금융사가 포함됐다. 두 업종의 잔액 모두 한은이 해당 업종 대출 통계를 금융업권별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사실상 역대 최대 규모다. 문제는 부실대출 지표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까지 악화했다는 점이다. 특히 비은행권의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1분기 말 각각 7.42%와 5.86%로, 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 2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위험노출액이 적은 은행권에서의 연체율도 건설은 1.01%, 부동산업은 0.24%로 각각 2016년 3분기1.37%와 2019년 1분기0.24%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고금리 충격이 자리하고 있다. 높아진 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찬 물을 끼얹고 이로 인해 예전만큼 돈이 돌지 않자, 대출을 내서라도 자금을 마련하려는 건설·부동산업체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은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둘러싸고 주름살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부동산 PF는 건물을 지을 때 시행사가 공사비를 조달하기 위해 이용하는 금융 기법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미분양이 속출하자 부동산 PF 대출을 타고 위험이 전이되는 양상이다.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 Copyrights ⓒ 주데일리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40세 한계 극복…200kg 감량, 64살 됐다 ☞"쯔양 협박한 유튜버들, 공갈 공모 정황 있기에 기소 가능성" [법조계에 물어보니 449] ☞日 법원 "男성기 있어도 여자"…파격 판결 핵심은? ☞김종인 "한동훈, 윤 대통령 배신 못해…與, 한동훈 내쫓으면 존속 힘들어" ☞[속보] 트럼프 유세중 총격 발생…CNN "트럼프 부상 입어" |
관련링크
- 이전글금투세 도입 시 절세 전략은?…"채권보다 연금보험" 24.07.14
- 다음글[100세건강] 두 달 넘게 콜록콜록…최신 연구가 밝혀낸 사실 24.07.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