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팀 쿡은 3년 연속 중국 찾고, 딥시크 모교에 기부했을까[산업이지]
페이지 정보

본문

팀 쿡 애플 CEO가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고위급 발전포럼에 참석해 있다. EPA연합뉴스
기부자는 중국 기업이 아닌 미국 애플이었습니다. 애플은 이날 자사 중국 홈페이지를 통해 “저장대와 공동으로 ‘애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큐베이션 펀드’를 설립하고 저장대에 3000만위안을 기부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기금은 워크숍, 인턴십, 멘토링 제도 등을 통해 학생들을 업계 리더, 투자자와 연결하고 비즈니스 교육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애플은 지난 10년간 저장대에 총 5000만위안을 기부해 ‘모바이 애플리케이션 혁신 대회’를 운영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저장대에서 열린 ‘모바일 앱 혁신대회’ 10주년 기념 행사에도 깜짝 등장해 학생들을 만났습니다. 쿡 CEO는 지난 23∼24일 열린 중국 고위급 발전포럼 참석차 중국 베이징을 찾아 중국 경제 고위급들과 잇달아 회동했습니다. 미·중 갈등 영향으로 흔들리는 중국 내 입지를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중국 스마트폰 1위 자리 내준 애플
팀 쿡 CEO는 2023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중국발전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중국에서의 행보는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었습니다. 쿡 CEO는 ‘딥시크를 사용해봤냐’는 기자의 질의에 “물론이다. 훌륭하다”고 답했습니다. 쿡 CEO는 베이징 도착 당일인 22일에는 중국 대형 연예기획사 대표와 자금성이 내려다보이는 경산공원을 산책하고, 전통가옥에서 한국 아이돌그룹 ‘슈퍼주니어M’ 출신인 가수 헨리의 공연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이 기간 애플은 중국에서 7억2000만위안 규모의 새로운 청정에너지 펀드를 설립하겠다는 소식도 알렸습니다.

팀 쿡 애플 CEO왼쪽과 가수 헨리. 헨리 인스타그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도 애플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행을 택한 이유는 그만큼 중국이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현지 파트너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등 시장 내 입지를 넓히기 위해 각 기업 수장들이 중국을 찾은 것으로 보입니다.

23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중국 고위급 발전포럼 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애플의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17% 줄어들면서 시장 내 3위에 그쳤습니다. 수년간 선두를 달리던 애플이 1위 자리를 내준 것입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에선 지난해 애플의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량 점유율이 비보17.8%, 화웨이16.4%, 샤오미15.7%에 이은 4위15.5%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는 화웨이18.1%, 샤오미17.2%에 이어 애플이 3위17.1%에 머물렀습니다.
중국 우호 행보, 결실 맺을까
중국에서 판매되는 애플 스마트폰에 AI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점이 부진의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 현지 업체들은 ‘가성비’나 AI를 비롯한 신기능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애플은 다소 뒤쳐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국은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 전 정부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픈AI의 챗GPT 등 서방 기업의 AI 모델에는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애플이 아이폰에 AI 기능을 탑재하려면 현지 파트너를 찾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지난달에는 애플과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알리바바가 공동 개발한 AI 기능을 아이폰에 탑재하기 위해 규제당국에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해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에서 열린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4’에서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소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관세 압박 속에서 지난달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에 50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애플의 전방위적 대응이 어떤 결실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 “파면될 때까진 나와야죠”…꽃샘추위에도 광장 메운 ‘탄핵 촉구’ 시민들
·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민주당 “권성동, 목적어 헷갈렸나…내란죄 묻겠다면 윤석열 고발하라”
· 검찰, 천하람 소환조사…명태균 ‘칠불사 홍매화 회동’ 캐나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종료…투표율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 석유 부국인데도 연료 없어서…‘주 13.5시간 노동’ 고육책 짜낸 이 나라
· 기계도 들것도 없다…미얀마 강진 구조현장, 맨손으로 잔해 파내며 사투
·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쿠팡 입점 가속화하는 우수 강소 식품사…"매출 대거 증가" 25.03.30
- 다음글삼성전자,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 개최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