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위기에 빠진 배터리 업계…LG엔솔·삼성SDI 적자전환
페이지 정보
본문
전기차 수요 감소로 실적 급감, 대응책 모색 분주
|
사진=연합뉴스 |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전기차 수요 감소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고 24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작년 4분기 ▲매출 6조4512억원 ▲영업손실 225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9.4% 감소한 수치며,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지난 2021년 3분기 이후 약 3년만의 적자”라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삼성SDI 역시 ▲매출 3조7545억원 ▲영업손실 2567억원을 보고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8.8%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이는 2017년 1분기 이후 약 7년 만의 적자다.
◇ LG엔솔·삼성SDI 영업이익률 2.2% 수준 급감
두 회사의 연간 실적도 급격히 감소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4.1%, 73.4% 줄었고, 삼성SDI는 22.6%, 76.5% 감소했다. 양사의 영업이익률은 모두 2.2%에 수준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런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전방산업의 침체를 지목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인해 주요 고객사들이 재고를 조정하면서 공장 가동률이 저하되고 배터리 출하량이 감소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를 제외하면 양사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AMPC 3773억원을 제외하면 적자 규모가 6028억원으로 늘어나며, 삼성SDI는 AMPC 249억원을 제외하면 약 3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다.
|
사진=LG에너지솔루션 |
◇ 트럼프 재집권, 정책 불확실성 확대...LG엔솔·삼성SDI 투자계획 조정
더 큰 문제는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이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해 양사는 투자 계획을 조정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설비투자CAPEX를 20~30%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투자비 절감과 경제성 효율성 증대를 위해 신규 증설 대신 이미 구축된 사이트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GM과의 합작법인JV 3기 매입을 통해 현지 수요에 대응하면서도 과잉 투자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가동률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 포트폴리오 확대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 5대 은행 예대금리차 5개월 연속 확대…’이자장사’ 논란 여전
▶ 고한승 삼성전자 사장, 바이오협회장 3연임
▶ [분석] 현대건설, 23년만의 대규모 적자…어닝쇼크일까 빅배스일까
▶ KT, 22년만에 SK텔레콤 시총 추월…주주환원 정책 기대감
▶ 4월부터 자동차보험료 최대 1% 인하…보험업계 울상 : 알파경제TV
/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
관련링크
- 이전글"차례상 배달왔습니다"⋯설 명절 신풍속도 25.01.25
- 다음글조류경고 1분뒤 블박 먹통…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깃털·혈흔 발견 25.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