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배달왔습니다"⋯설 명절 신풍속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s://omedia.co.kr/img/no_profile.gif)
본문
배달앱 주문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편리#x22ef;아예 생략하기도
[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고물가, 트렌드 변화 등으로 차례상 풍속도가 달라지고 있다. 가격 부담과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차례상을 통째로 배달하거나, 가정간편식HMR을 적극 활용하는 가정이 늘어나는 추세다.
![](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25/737c19fb590147.jpg)
25일 전문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4인 가족 설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 30만2500원, 대형마트 40만951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전통시장은 6.7%, 대형마트는 7.2% 상승한 수치로 역대 최고치다.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번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치솟은 물가와 이전과는 달라진 설 문화의 영향으로 차례상 차리는 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배달 차례상이 대표적이다. 서울 지역 반찬가게, 온라인 배달 전문점 등에서는 4인 가족 기준 차례상을 통상 30만원 안팎에 판다. 전통 재래음식 전문점 이하원은 2~3인용 차례상을 28만원, 5인용 차례상을 33만원, 10인용 차례상을 43만원에 판다. 다례원은 4~6인분 차례상을 39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모두 대형마트에서 직접 장을 봐 차례상을 차리는 것보다 저렴하다. 음식을 일일이 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덜 수 있다.
비용을 대폭 줄이기 위해 HMR 제품을 활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주요 식품 기업들은 떡국, 동그랑땡, 완자, 떡갈비, 잡채 등 명절 음식을 HMR로 팔고 있다. 편의점들은 명절 도시락을 출시했다. 설 명절 연휴에 혼자 집에서 쉬는 1인 가구가 늘어난 것을 겨냥한 것이다.
![17f14f7d9ca43f.jpg](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in/2025/01/25/17f14f7d9ca43f.jpg)
일부 가정에선 아예 차례상을 생략하고 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비용 부담이 적지 않은데다, 요즘 문화와도 맞지 않다는 생각에서다. 올해 특별한 명절 상차림 계획이 없다는 30대 A씨는 "차례상을 안 차린 지 한참 됐다. 특별히 구애받지 않고 가족끼리 먹고 싶은 음식을 사 먹거나, 배달시켜 먹는다. 올해 설도 그럴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다윗 기자david@inews24.com[관련기사]
▶ 남현희, 징역 13년 확정 전청조에 "사과하세요" 심경 밝혀
▶ 조국, 남부교도소 이감#x22ef;윤석열과의 구치소 만남 불발
▶ 갤럭시 S25 최대 지원금 24만5000원..."선택약정이 더 유리"
▶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기각#x22ef;174일만에 복귀상보
▶ 이재명 "검든 희든 쥐만 잘 잡으면 좋은 고양이 아닌가"[종합]
▶ 삐끼삐끼로 유명해진 KIA 치어리더, 올해는 국내에서 못 본다
▶ "10년 젊어졌네"#x22ef;탈모인 소원에 종근당 쫑긋
▶ 악뮤 이찬혁, 1살 연상 배우 하지수와 열애설…"뮤직비디오 인연"
관련링크
- 이전글美, 우크라이나 등 인도적 난민 입국 차단 25.01.25
- 다음글[현장] 위기에 빠진 배터리 업계…LG엔솔·삼성SDI 적자전환 25.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