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흑연 쓴 전기차에도 보조금…미 유예에 국내 안도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중국산 흑연 쓴 전기차에도 보조금…미 유예에 국내 안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5-04 20:29 조회 17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미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에 중국산 흑연을 쓰더라도 2026년까지는 보조금을 주기로 했습니다. 이걸 못 받으면 중국산 흑연을 많이 쓰는 국내 배터리 회사, 또 완성차 업계의 미국 매출 자체가 크게 줄어들 뻔했는데, 일단 한숨 돌리게 됐습니다.

고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에서 차량당 7천500달러, 약 1천만 원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배터리 부품은 올해부터, 핵심 광물은 내년부터 중국 등 해외 우려기관에서 조달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전기차 2차 전지 소재 중 음극재의 핵심 원료인 흑연은 중국이 전 세계 채굴과 제련 시장의 70%를 장악해 대체 공급처를 찾기 쉽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는 흑연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해 왔습니다.

지난해 국내 배터리 3개 회사가 미국 시장에서 올린 매출은 약 10조 원에 달하고, 국내 완성차 업체 전기차에도 대부분 이 회사들이 제작한 배터리가 들어갑니다.

보조금을 못 받으면 국내 완성차와 배터리의 미국 매출이 크게 줄어들 상황이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IRA 전기차 세액공제 관련 최종 규정에서, 중국산 흑연 사용제한 규정 적용을 2026년 말까지 2년간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과 독일 등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흑연 조달을 단기간에 중국 외 다른 지역으로 바꾸기 어렵다는 점을 호소하자 제도 시행을 미룬 겁니다.

미국은 IRA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밀어내려 했지만, 친환경 차량 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예를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호근/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 아직은 저가형 전기차 출시가 안 된 상황에서는 결국 보조금에 의존해야만 전기차 보급이 계획대로 될 수 있는 상황이다 보니까 미국이 양보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년이라는 유예기간 동안 국내 업체들은 흑연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디자인 : 박천웅

고정현 기자 yd@sbs.co.kr

인/기/기/사

◆ 파리서 연락두절 30대 남성 소재 확인…"신체 이상 없어"

◆ "터질 게 터졌다" 김포 비극 후 내 일처럼 떠는 공무원들

◆ "집 가서 보면 되지"…인천공항의 부부 강제발령 논란

◆ "남편이 깡패였다길래…" 살인미수로 끝난 중년의 불륜

◆ "신혼집 준비해와" 처가 압박에…중국 남성 경찰조사, 왜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