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도시펀드 조성 정책 설명회 개최…총 12조 규모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미래도시펀드 조성 정책 설명회 개최…총 12조 규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3-27 06:01

본문

[이투데이/정용욱 기자]

미래도시펀드 조성 정책 설명회 개최…총 12조 규모
1기 신도시 재건축 관련 미래도시 펀드 개요.자료제공=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총 12조 원 규모의 미래도시펀드 조성을 위한 투자 정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열리는 이번 투자 정책설명회는 본격적인 미래도시펀드 투자자 모집에 앞서 노후계획도시 정책과 미래도시펀드의 구조·지원내용 등을 설명하고자 마련된 자리다. 이날 HUG와 한국금융투자협회는 미래도시펀드 조성 지원, 부동산 금융산업 활성화를 위해 업무협약MOU도 체결한다.

그간 정비사업에 필요한 계획비용, 운영비용, 공사비용 등 사업비용은 주민이 자체적으로 정비사업 관련 금융기관과 협의하여 조달했다. 다만, 장기간에 걸쳐 자금이 투입되어야 하는 정비사업의 특성상 착공 이전에는 금융권 이용이 어려워 유관업체의 대여금 등을 이용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각종 사업 비용에 리스크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사업수지가 악화하는 문제가 꾸준히 지적됐다. 이러한 자금조달 문제를 해결하고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부는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전체 단계에서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펀드인 미래도시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미래도시펀드는 모母·자子 구조를 바탕으로 사업시행자에게 대출을 시행하는 대출형 펀드로 조성되며 펀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HUG가 모든 대출에 대해 보증한다. 대출형 펀드는 사업시행자에게 사업비용을 대출하고 이자를 통해 수수료와 투자수익을 마련하는 펀드를 말한다.

미래도시펀드를 통해 앞으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전 과정에 대해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가능해진다. 대상 사업은 재개발·재건축으로 한정되었던 기존 대출상품과 달리 계획도시를 전체적으로 재정비하는 노후계획도시정비사업에 적합하게 주택단지, 중심지구, 시설정비 등 다양한 사업유형에 대해서도 지원한다.

또 초기사업비 지원의 시기가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정비계획수립 이후시공사 선정 후로 조기화되고, 규모가 대폭 확대된다. 미래도시펀드 본사업비 대출은 본사업비 대출한도 산정 시 공사비를 제외했던 관행을 개선하여, 본사업비 대출 총액에 공사비를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이번 투자설명회에서는 미래도시펀드의 조성방안, 투자전략, 리스크 관리방안, 운용사 선정 등 미래도시펀드 투자와 운영을 위한 세부 사항을 최초 공개한다. 올해 6월 중 운용사 선정계획을 공고하고, 12월 중 6000억 원 규모의 1호 모펀드에 대한 투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진현환 국토부 제1차관은 “미래도시펀드가 그간 정비사업에 존재했던 사업시행자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등 재원조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우수한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투데이/정용욱 기자 dragon@etoday.co.kr]

[관련기사]
국토부, ‘2025 건설기술인의 날’ 행사 …유공자 43명 표창
국토부, ‘공공기여 가이드라인’ 배포…공공기여 지가 상승분 ‘70% 이내’ 설정
올해 문화선도산단에 구미·창원·완주 선정…통합 브랜드 구축
박상우 국토부 장관 “건설산업 성장 위한 체질 개선 필요”
서울시, 명일동 싱크홀 사고 원인 규명 나선다…국토부와 조사위 구성

[주요뉴스]
지리산·주왕산국립공원까지 산불 확산…환경부 "저지 총력"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01
어제
1,011
최대
3,806
전체
941,32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