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안 좋은 가스레인지 계속 쓸래?"…삼성·LG 북미 인덕션 시장 군...
페이지 정보

본문
5년간 연평균 10% 성장 예상

미국 시장 내 가스레인지를 둘러싼 건강 우려가 이어지면서 인덕션 등 전기레인지 시장이 빠르게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도 시장 흐름에 발맞추는 모습이다.
21일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조리용 레인지 북미 시장 규모는 108억6000만달러약 15조7000억원로,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8% 성장이 예상된다. 가스레인지가 여전히 높은 점유율46.1%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덕션 제품군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0.1%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북미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쿡탑, 레인지 등 제품군을 지속해서 확대하며 인덕션 시장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LG전자 인덕션은 에너지 효율, 조리 성능, 신뢰성, 소유자 만족도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소비자 전문지 컨슈머리포트가 뽑은 ‘최고의 전기 인덕션 레인지’로 선정됐다.
삼성전자도 스마트 기능을 강화한 프리미엄 제품으로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비스포크 슬라이드인 레인지 외에 럭셔리 빌트인 주방 가전 브랜드 ‘데이코’ 제품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북미 최대 주방·욕실 전시회 ‘KBIS 2025’에서 인덕션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뒤집으면서 미국 내 가스레인지 판매가 다시 활성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현지 상황을 주시하면서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덕션은 가스레인지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논란이 일며 관심이 높아진 가전이다.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 초미세먼지,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등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실내 공기 오염 걱정이 적은 인덕션을 택하는 소비자가 늘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최근 “자동차가 마차를 대체하고 e메일이 전보를 대체한 것처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안전하며 정밀한 조리가 가능한 인덕션이 가스레인지를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러한 전환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내다봤다.
▶ “눈 앞에서 보고도 못 믿었다”…고속도로서 제네시스 포함 신차 8대 ‘와르르’ 쏟아져
▶ 美 FDA “‘통영 굴’ 절대 먹지 마라”...판매 중단·회수, 왜?
▶ 유족 “김새론 결혼·낙태 몰랐다” vs 이진호 “핸드폰 어떻게 몰라”
▶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22일 土음력 2월 23일·2025년 3월 23일 日음력 2월 24일
▶ “이런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주52시간’ 늪에 빠진 韓경제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물을 주제로 펼치는 공연 25.03.21
- 다음글"우리 엄마가 비트코인 큰 손?"…50대 이상 큰 손 1인당 평균 21억 보... 25.03.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