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사모펀드에 438억 배상 ISDS 판정 불복소송 패소종합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정부, 美사모펀드에 438억 배상 ISDS 판정 불복소송 패소종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3-21 17:38

본문

법무부, 싱가포르 국제상사법원 1심 패소
28일 내 항소 가능…법무부, 판결문 분석 후 대응키로

정부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으로 손해를 본 미국 사모펀드 메이슨에 3200만달러약 438억원를 배상하라는 투자자·국가 간 국제투자분쟁ISDS 판정에 불복해 취소 소송을 제시했지만 1심 패소했다.

정부, 美사모펀드에 438억 배상 ISDS 판정 불복소송 패소종합

연합뉴스

21일 법무부는 싱가포르 국제상사법원이 정부가 제기한 취소소송에 대해 원 중재판정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메이슨은 2018년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ISDS를 제기했다. 한국 정부가 옛 삼성물산 주주로서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하도록 했고, 그 결과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해 약 2억달러의 손해를 입었다는 이유에서다.

당시 우리 정부는 중재판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관할을 부당하게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FTA 상 ISDS 사건 관할이 인정되려면 정부가 채택하거나 유지한 조치고, 투자자 및 투자와 관련이 있어야 하는데 이번 사건은 두 요건 모두 충족하지 않았다는 취지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 등 개별 공무원의 불법적이고 승인되지 않은 비공식적 비위 행위를 정부가 채택한 조치로 판단한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메이슨은 운용역GP일 뿐 주식을 실제 소유하지 않았으므로 청구인 자격이 없는데도 자산 소재지인 한국법이 아닌 다른 법을 적용해 메이슨을 법적 소유자로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4월 중재판정부는 메이슨 측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한국 정부에 3203만876달러 및 지연이자2015년 7월17일부터 연 5% 복리를 지급하라고 판정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지난해 7월 중재지인 싱가포르 법원에 취소소송을 제기했다.

정부가 이번 선고에 불복할 경우 다음 달 17일까지 항소할 수 있다. 항소하지 않으면 선고가 그대로 확정된다. 법무부는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해 정부 대리 로펌 및 전문가들과 함께 판결문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관련기사]
"할머니, 지금 자면 안 돼요" 치매 걸릴 위험 2배 쑥…충격 연구 결과
"뚝뚝 흘려주면 야하죠"…LG엔솔 홍보영상 기막혀
넷플릭스에서 받은 160억…코인·명품에 다 써버린 감독
"보고 싶다" 이별 통보에 분노…전 여친에 1원씩 200번 송금한 男
"한국산 굴 절대 먹지마" 판매 중단에 회수 조치까지 무슨 일?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높아진 취업 문턱에 멈춰 선 50만 청년의 현실은?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25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32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