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6G?우주 인터넷 시장 선점…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기술 개발 ...
페이지 정보

본문
6G?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기술?MOU?체결…관련 다분야 기술 공동개발

한화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화빌딩에서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기술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이사와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을 비롯한 양 기관 주요 임원들이 참석했다.
한화시스템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국내 6G 저궤도 위성통신 실현을 위해 필요한 △6G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기술 △다계층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 △우주·항공용 반도체 기술 △지능형 전자기 스펙트럼 관리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기반 기술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6G 저궤도 위성통신은 5세대 이동통신5G보다 수십 배 빠른 것으로 알려진 6세대 이동통신6G을 저궤도 통신위성을 통해 구현하는 차세대 첨단 통신 서비스다. 지상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기존 지상망과 다른 위성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지를 포함한 지상·해상·공중 등 시공간 제약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정지궤도고도 3만5000km 이상보다 낮은 상공에서 지구와 가깝게 도는 저궤도 위성고도 200~2000km을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 빠르고 지연 없는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향후 국내에 6G 저궤도 위성통신이 상용화될 경우 높은 고도를 비행하는 항공기 및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선박 내에서도 초고속 6G 통신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은 현재 스타링크·아마존 등 해외 기업들이 시장을 넓히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영역을 순수 우리 기술을 통해 독자적으로 구축해 통신 주권을 확보하고, 향후 글로벌 진출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협력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사업부장은 "금번 MOU를 통해 초고속 우주 인터넷 실현을 위한 한 걸음을 또 내디딜 수 있게 됐다"며 "대한민국의 안보 및 국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국내 군용 및 민간용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기술을 지속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 수출에도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한지연 기자 hanji@ajunews.com
★관련기사
한화시스템, 6G?우주 인터넷 시장 선점…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기술 개발 맞손 ?
한화시스템, 지난해 영업익 2193억원…전년비 78.9%↑
한화시스템,?상태기반진단체계 국산화…"글로벌 무인함정 기술 국내 첫 확보"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봄 시즌 맞은 레스토랑 업계…신메뉴·캠페인 각축전 25.03.21
- 다음글대한민국, 루마니아와 보건산업 협력 강화 25.03.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