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평균 1000만원밖에 못버는데 카페 문 닫아야죠"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월 평균 1000만원밖에 못버는데 카페 문 닫아야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3-19 12:10

본문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
본문이미지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10일 서울 서대문구 이대입구역 인근 상가가 공실로 방치돼 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내수 부진 등 경기 침체 영향으로 지난 1월 국내 자영업자 수가 550만명으로 전월보다 7만4000명1.33% 감소해 지난 2023년 1월549만9000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보였다. 2025.03.10. hwang@newsis.com /사진=황준선

# 경기도 용인에서 카페를 운영하던 김인종가명씨는 지난해 폐업신고를 했다. 매출은 계속 줄어드는데 손님은 없고, 생활 물가는 올라 각종 비용이 상승아는 등 적자가 심해져서다. 김 씨 가게의 월 평균 매출은 1000만~2000만원이었는데, 가게 임대료와 운영비 그리고 직원 인건비 등을 빼면 남는게 없었다. 적자를 기록한 달도 있었다.

김 씨 사례처럼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수익성 악화를 호소하며 사업장 문을 닫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폐업2021~2024년한 소상공인 8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0% 이상이 월 평균 매출액 3000만원을 넘지 못했다.

조사 대상 중 월 평균 매출액이 50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16.7%,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은 15.2%,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은 27.8%로 나타났다. 월 평균 매출액이 3000만원 이상~6000만원 미만은 19.5%, 6000만원 이상은 20.6%로 조사됐다. 월 평균 매출액은 도·소매업과 제조업이 높게 나왔다. 숙박·음식점업과 서비스업이 낮게 나와 업종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폐업 후 생계유지 방안 마련이 가장 힘들다고 토로했다. 권리금 회수와 업체 양도, 대출금 상환 등도 애로사항이라고 지적했다.
본문이미지

더 큰 문제는 폐업 시 정부 지원제도희망리턴패키지·새출발기금 등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8.2%가 정부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들은 제도 활용을 잘 못한 이유로 △정부 지원내용을 알지 못해서66.9% △신청 방법이나 요건이 까다로워서21.4% 등을 내세웠는데 지원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폐업시 필요한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 △대출금 상환 유예와 이자 감면52.6% △폐업 비용 지원51.0% △폐업 이후 진로 지원46.6% △자영업자고용보험과 노란우산공제 확대22.8%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소상공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복수응답로 △장기대출 상품 전환과 이자 감면 등 채무부담 완화 정책63.9% △임대료·전기료 등 고정비용 경감 정책51.0% △폐업 시 재기와 생계 유지를 위한 노란우산 제도 강화44.4% △빈 점포 등 상권 슬럼화 방지를 위한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30.5% 등을 꼽았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폐업 후 재창업을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이 조사 대상자 중 60%에 달했는데 그만큼 소상공인 창업 시장이 힘들다는 것"이라며 "업종별 맞춤형 폐업 비용 지원과 취업 전환 등 재기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수현, 아니라고 할 거냐"…김새론 집에서 스킨십까지?
수입은 N빵, 위약금은 몰빵?…김새론, 혼자 70억 빚 떠안을 뻔했나
"10년간 학대당해" 구준엽 장모, 故 서희원 전남편 비판
한가인 다음은 이청아?…이수지 패러디 영상 또 조롱 논란
윤정수, 망한 사랑 전문가…"돈 받고 전여친 결혼식 사회"
이재명 "최상목, 직무유기 현행범 체포 가능…몸 조심하라"
서울·수도권, 갭투자·다주택자 대출 막힌다..강남3구 정조준
공수처, 계엄 사전모의 의혹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 소환 조사
"지난 몇 년, 행복하지 않았다"…사업 대박 슈, 모처럼 웃었다
정동원, 포경수술 후 미스터트롯 결승…"종이컵 차고 올라갔다"
신기루 사망 가짜뉴스에 분노…"손가락으로 사람 죽이는 것들 천벌"
세계 1위 삼성 D램 30년 왕조 흔들…SK하이닉스가 차지하나
"백종원 편법 수의계약 의혹, 바로 신고"…이번엔 또 무슨 일?
[속보]이재명 "최상목 대행, 직무유기 현행범 체포 가능…몸조심하시길"
강남3구용산 모든 아파트로 토허제 확대...2200개 단지·40만가구
정진우 기자 econphoo@mt.co.kr 유예림 기자 yesrim@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24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12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