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카드론은 3년 만에 최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카드사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카드론은 3년 만에 최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3-19 06:01

본문

작년 1.65%…10년만 최고치
카드론 포함 대출 증가
카드사 순이익은 정체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지난해 국내 전업카드사 연체율이 10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서민 급전창구로 통하는 카드론장기카드대출 액수도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드사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카드론은 3년 만에 최대

1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롯데·BC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1.65%를 기록했다. 전년 말1.63%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2014년1.69%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다. 연체율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상승세다. 여기서 연체율은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말한다.

카드사 부실채권 비중도 커졌다. 카드사의 지난해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6%로 전년 말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2023년1.14%에 전년0.85% 대비 0.29%포인트 급등한 데 이어 재차 상승했다. 금융 기관은 자산 건전성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5단계로 나눈다.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된 여신 합계액을 총여신으로 나눈 비율이 고정이하여신비율이다. 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채권 비중이 크다는 뜻이다.

지난해 카드대출 이용액은 104조9000억원으로 전년102조원 대비 2.9% 증가했다. 카드론 이용금액이 47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9% 증가했고,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이용액은 57조8000억원으로 0.5% 늘었다.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이용액 모두 3년 만에 최대치다.

ae_1742342407132_498516_1.png

카드사 수익은 소폭 늘었다. 지난해 전업카드사 총 순이익은 2조5910억원으로 전년2조5823억원 대비 87억원0.3% 증가했다. 지난해 총수익은 전년 대비 1조4304억원5.3% 증가했다. 카드대출수익4673억원, 할부카드수수료수익2897억원, 가맹점수수료수익670억원 등이 늘어난 결과다. 하지만 이자비용5983억원과 대손비용2107억원을 비롯한 총비용이 1조4217억원 늘면서 순이익 증가 폭은 미미했다.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8.1%로 전년 말109.9%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모든 카드사가 100%를 넘겼다.

자본적정성 지표는 대체로 양호했다.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0.4%로 모든 카드사가 경영지도비율8%을 크게 웃돌았다. 레버리지배율5.2배의 경우 2022년 말5.6배, 전년 말5.4배보다 낮아졌다. 규제한도8배를 밑돌았다.

ae_1742342407132_295878_2.png

할부금융사, 리스사, 신기술금융사 등 카드사를 제외한 181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2조4898억원으로 전년2조7026억원보다 2128억원7.9% 감소했다. 181개사 연체율은 2.10%로 전년 말 대비 0.22%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86%로 같은 기간 0.66%포인트 올랐다.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33.5%로 181개사 모두 100%를 웃돌았다.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8.6%로 181개사 모두 경영지도비율7%을 웃돌았다.

금감원은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상승 폭은 작아졌다"며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조정자기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웃돌아 손실흡수능력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사 수익성 변화와 비카드 여전사 수익성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 경·공매 등을 통한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리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여전사 유동성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제도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관련기사]
한국이 잘 한대…외국인 우르르 몰려오더니 1조원 쓰고 간 곳
기생충 득실득실…날로 먹었다가 암 걸린다는 이 물고기
1160억 남기고 떠난 유명배우, 유언장엔 아내 이름만…세 자녀는?
"여자들에게 꼭 필요"…고등학생이 만들었다가 대박난 사업
명문대 파격 결정…연수입 1억4천이하 학생은 등록금에 생활비까지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높아진 취업 문턱에 멈춰 선 50만 청년의 현실은?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21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11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