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한국인 스트레스 세계 최고 수준이다?
페이지 정보

본문
성소수자 안전 지표 반영 커서 현실과 차이 있어
자살률 심각하지만 스트레스 주요국 중간 평가도
![[팩트체크] 한국인 스트레스 세계 최고 수준이다?](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yt/2025/03/20/AKR20250225129600518_04_i.jpg)
[출처=인스타그램 게시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형빈 기자 = 높은 교육열과 업무 강도, 비싼 물가와 치솟는 부동산 가격, 치열한 경쟁사회.
이는 세계 10위권의 경제 강국이자 K-컬쳐로 주목받는 한국 사회의 어두운 이면이다.
최근 온라인커뮤니티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나라로 한국이 1위를 기록했다"는 게시물이 주목받았다.
많은 한국인이 다양한 이유로 스트레스를 겪겠지만, 과연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국가로 선정될 만큼 상황이 심각한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소수자 안전, 자살률, 우울증 등 특정 지표에 의미를 둔다면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 중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론조사 등 일반적인 평가를 종합하면 한국인이 받는 스트레스는 주요국 중에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볼 때 한국인은 경제적 요인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면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건 맞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보긴 어려워 보인다.
◇ 해외 보험사 조사서 한국이 스트레스 OECD 1위
"한국이 OECD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나라다"라는 주장의 근거가 된 자료는 영국의 보험사 윌리엄 러셀William Russell이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한 스트레스 받는 도시와 국가Stressed cities and countries 순위다.

[출처=윌리엄 러셀 홈페이지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리포트는 물가 및 생계비, 의료비, 청결도, 환경 오염도대기질, 소음오염 등, 자살률, 성소수자 안전 등 8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37개국의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했다.
OECD 회원국 중에서 1위는 한국8.02점이었고, 미국7.29점, 벨기에7.12점, 프랑스6.63점, 이탈리아6.56점, 헝가리6.11점 순이었다.
반면 가장 스트레스가 적은 국가로는 포르투갈2.95점, 스웨덴3.20점, 에스토니아3.26점, 핀란드3.33점, 네덜란드3.37점 등이 꼽혔다.
도시별로 보면 빈오스트리아, 뮌헨독일, 에든버러영국 등이 스트레스가 적었고, 뭄바이인도, 방갈로인도, 나이로비케냐는 높았다. 서울은 11위로 OECD 회원국 중 상위권에 속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은 도시가 청결하고 의료비 부담이 적지만, 높은 물가와 대기오염도, 자살률, 성소수자 안전 등이 주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10만명당 자살률은 21.16명으로 조사국가 중 가장 높았고, 성소수자 안전은 92점으로 37개국 중 하위 3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성소수자 안전 지표는 한국과 함께 상위권에 포함된 미국292점, 벨기에343점, 프랑스338점 등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 순위 결정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윌리엄 러셀은 성소수자 안전 지표의 출처로 여행 웹사이트 애셔amp;리릭이 발표한 성소수자가 여행하기 가장 좋은 국가2023 순위를 사용했다.
여기서 한국은 203개국 중 76위D로 평가됐는데, 평가 항목에는 동성결혼 합법 여부, 동성 부부의 입양 가능 여부 등 현행법이 허가하지 않는 내용이 다수 있다. 차별금지법 법제화 여부, 직장에서의 성소수자 보호책, 성소수자가 주관적으로 느낀 만족도 등도 포함됐다.

[출처=애셔amp;리릭 홈페이지 캡쳐.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때문에 순위는 성소수자를 엄격히 배척하는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시아권 이슬람 국가가 대부분 하위권을 차지했고 북미와 유럽 국가들은 상위권으로 분류됐다. 지리·문화적으로 한국과 유사한 일본73, 중국110위, 홍콩86위, 몽골70위 등은 중위권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스트레스가 가장 많이 국가로 선정한 해당 리포트는 특정 평가 기준에 따른 것이므로 틀렸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다만 유사한 조사에서 잘 반영되지 않는 성소수자 관련 지표가 비중 있게 평가돼 실제 국민이 겪는 스트레스 정도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여론조사엔 한국인 스트레스 주요국 중간 평가도
그렇다면 실제 각국 국민이 스스로 느낀 스트레스의 정도를 집계한 여론조사 결과는 어떨까.
글로벌 여론조사 네트워크 WINWorldwide Independent network of Market Research과 한국갤럽은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39개국 성인 3만3천866명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 인식 다국적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세계 응답자의 66%는 자신의 스트레스·정신건강에 대해 매우 좋다 또는 좋다고 응답했다. 좋지 않은 편 또는 전혀 좋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은 32%였다.
한국은 긍정 67%, 부정 32%로 39개국 가운데 중간 수준이었다.
조사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국가는 파라과이긍정 97%, 부정 3%였고, 인도네시아긍정 91%, 부정 3%, 베트남긍정 89%, 부정 11%, 멕시코긍정 88%, 부정 11% 순이었다.

[출처=한국갤럽 홈페이지.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스트레스가 많은 국가는 아르헨티나긍정 36%, 부정 54%, 페루긍정 40%, 부정 59%, 라오스긍정 49%, 부정 50%, 나이지리아긍정 50%, 부정 51% 등이었다.
다만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얼마나 자주 느끼냐는 질문에 한국은 전혀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이 1%에 불과했다. 가끔 느낀다55%, 자주 느낀다27%, 항상 느낀다5%고 답해 어떤 빈도로든 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은 7위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스트레스 원인은 내가 하는 일24%이 가장 높았고, 경제적 문제21%가 다음이었다. 한국은 각각 26%와 29%로 평균보다 높았으나, 가족 문제, 전쟁, 건강,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은 평균보다 낮거나 같았다.
서울시 정신통계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우울증은 2019년 기준 그리스가 6.5%로 가장 높았으며 스페인6.0%, 포르투갈5.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 2.6%로 싱가포르2.4%, 콜롬비아2.5% 등과 함께 우울증 유병률이 낮은 축에 속했다.
다만 우울증 유병률은 통계 작성 주체에 따라 변동 폭이 커 코로나19 기간 집계된 OECD 국가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에서는 한국이 36.8%로 가장 높았고 스웨덴30.0%, 멕시코·호주27.6%, 미국23.5%, 그리스22.8%, 오스트리아21.0%, 벨기에20.0% 순이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최근 한국인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개선됐지만 삶의 만족도, 자살률은 악화했다.
지난 2주 동안 스트레스를 느낀 적이 있는 비율로 측정되는 스트레스 인지율은 지난해 38.4%로 2022년 44.9%보다 6.5%포인트P 감소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2008년 60.4%에서 2010년 70.0%로 증가한 이후 줄곧 감소 추세다.
삶의 만족도는 2021∼2023년에 6.06점으로 OECD 평균6.69점보다 0.63점 낮았다. 38개국 중 만족도 순위는 33위로, 우리나라보다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헝가리, 포르투갈 등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하 자살률은 2022년 25.2명에서 2023년 27.3명으로 상승했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 비교 자료 기준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 명당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binzz@yna.co.kr
lt;lt;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factcheck@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gt;gt;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샷!] "내가 원할 때까지 사과 전화를 하라"
- ☞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첫 재판
- ☞ 안철수 "李 목긁힌 뒤 누워"…野 "패륜적" 경찰에 고발
- ☞ 새벽에 치킨집 몰래 들어가 통닭 2마리 직접 튀겨 훔친 절도범
- ☞ "휴대전화 갖고 있다" 유명가수 협박해 5억원 요구한 일당 검거
- ☞ 90억 황금변기 녹여 판 도둑들 단죄…"변기사용 경험? 인상적"
- ☞ 학교 앞서 버젓이 성매매 알선…손님 위장한 경찰관에 적발
- ☞ 억대 세금 추징 이준기 "법 해석 차 때문…탈세·탈루 아냐"
- ☞ 음주운전하며 지인 여성 강제로 태운 뒤 못 내리게 한 30대 구속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홈플러스에 물건 주지 마세요…우유업계 1위 서울우유 납품 중단 25.03.19
- 다음글호텔신라 주총 참석한 이부진 사장 25.03.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