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32년 만의 시중은행 탄생…대구은행, 과점 깨는 메기 될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종합] 32년 만의 시중은행 탄생…대구은행, 과점 깨는 메기 될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4-05-16 17:15

본문

뉴스 기사
[이투데이/문선영 기자]

금융위 "신규 플레이어 진입...은행권 경쟁촉진 기대"
iM뱅크로 사명도 변경...영업점 3년간 14개 신설

기사 이미지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탄생했다. 국내 최초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이 금융당국 인가에 따라 ‘아이엠iM뱅크’라는 이름의 시중은행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다. 대구은행은 지방은행 중 처음으로 ‘전국구’ 은행으로 도약한 타이틀도 거머지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규 플레이어 진입을 통한 은행권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에 따라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 이뤄졌다”면서 “이번 결정으로 은행 간 경쟁이 촉진되고, 소비자 후생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은행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구은행은 지난 2월 지방은행 중 유일하게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신청했다. 지난해 8월 대구은행 직원 수십명이 고객 명의 증권계좌를 무단으로 개설한 정황이 포착돼 고비를 맞기도 했지만 재발 방지대책을 만들고 당국의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 무사통과됐다.

시중은행 출범을 앞두고 대구은행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과의 경쟁을 위한 전략을 세웠다. 약점 중 하나로 꼽히는 지점을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3년간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에 영업점 14개 등을 신설하고, 상황에 따라 지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 등을 기반으로 중신용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시중은행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틈새 전략이기도 하다.

시중은행 전환과 새 사명 홍보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도 준비했다. 대구은행은 조만간 주주총회를 거쳐 아이엠뱅크라는 사명으로 최종 변경한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에선 대구은행 명칭을 병기해 57년 정체성을 지킨다는 계획이다.

이미 계열사들도 iM라이프DGB생명, iM투자증권하이투자증권, iM캐피탈DGB캐피탈 등으로 사명 변경을 위한 준비작업을 마치거나 들어간 상태다. 대구은행은 새 사명 상표권 등록을 하면서 iM손해보험과 iM저축은행을 포함시키는 등 시중은행 전환을 계기로 포트폴리오 다양화도 추진하고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지만 지방은행으로서 다져온 기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만반의 준비를 마쳤지만 당장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의 ‘과점 체제’를 깨뜨릴 메기 역할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는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은 물론 인터넷은행과도 경쟁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전략적 묘수를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도 “대구은행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장기적으로 봤을때 은행업권의 경쟁 체제를 촉발시키는 요인이 될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투데이/문선영 기자 moon@etoday.co.kr]

[연관기사]
[특징주] DGB금융지주, 32년만 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인가 결정 소식에 강세
DGB금융지주 황병우 시대 본격 개막…"가장 지역적인 전국은행 포지션 만들 것"
[Qamp;A] 32년만의 시중은행 탄생..."대구은행, 내부통제 시스템 지속 점검할 것"
DGB대구은행, 32년 만 새 시중은행…사명은 ‘iM뱅크’
32년 만의 시중은행 탄생…금융위, 대구은행 시중은행 전환 인가

[주요뉴스]
[특징주] 이수페타시스, ‘깜짝 실적’에 16.9%↑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02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50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