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불재, 삼귀다가 뭐예요?" 성인 80% 대화 어려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스불재, 삼귀다가 뭐예요?" 성인 80% 대화 어려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3-18 09:30

본문

- 에듀윌 설문조사 결과, 79.1%가 신조어로 인해 소통 불편 경험
- 세대 간 거리감vs재미 요소… 신조어에 대한 인식 엇갈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성인 10명 중 8명은 신조어 사용으로 인해 세대 간 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교육기업 에듀윌이 20~50대 성인 남녀 7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조어’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9.1%가 부모, 자녀, 직장 동료 등 다른 세대와 대화할 때 신조어 때문에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응답 비율을 살펴보면 ‘가끔 있다’는 응답이 60.6%로 가장 많았고, ‘자주 있다’는 18.5%로 뒤를 이었다. 반면 ‘거의 없다’는 17.9%, ‘전혀 없다’는 2.9%에 불과했다.


신조어가 세대 간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7.1%가 신조어가 세대 간 거리감을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단절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반면 27.7%는 공감대 형성과 재미 요소를 제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본인의 신조어 이해도를 묻는 질문에는 47.4%가 ‘자주 듣는 신조어는 이해할 수 있다’고 답했다. 32.1%는 ‘가끔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으며 11.4%는 ‘대부분의 신조어를 이해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9.1%는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신조어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너무 빠르게 변해서 따라가기 어렵다’는 응답이 35.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한다’33.6%, ‘재미있고 유용하다’22.1%, ‘언어 파괴로 부정적이다’8.7% 순으로 나타났다.
quot;스불재, 삼귀다가 뭐예요?quot; 성인 80% 대화 어려워
사진=에듀윌
가장 자주 사용하는 신조어 유형으로는 ‘갑분싸’갑자기 분위기 싸해진다, ‘혼코노’혼자 코인 노래방, ‘별다줄’별걸 다 줄인다 등 줄임말이 3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플렉스’, ‘레트로’ 등 외래어 및 외국어 변형21.2%, ‘스불재’스스로 불러온 재앙,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 ‘삼귀다’사귀다의 앞선 단계 등 신조어 조합20.8%, ‘킹받네’, ‘ㄱㄱ’ 등 인터넷·SNS 용어20.3%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에듀윌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 신조어는 세대 간 소통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언어 환경에서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해 신조어에 대한 관심과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
☞ 기생충 득실…‘이 물고기 절대 회로 먹지 마세요
☞ “초봉 5000만원·사택도” 복지 끝판왕 ‘이 회사 어디
☞ 병원 앞 2시간 대기하다 아이 받아...조끼 벗은 구급대원이 한 말
☞ 25세 만삭 아내가 남긴 95억 사망보험금…돈벼락 진실은?[그해 오늘]
☞ 논란 끊이지 않는 백종원…끝없는 주가 하락에 개미들 눈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영환 kyh10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87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08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