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는 족족 다 내야…국민연금 폭탄에 자영업자는 냉가슴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
보험료율 13% 인상분 전액 부담
月300만원 소득 땐 보험료 40만원
지역가입자 92%, 300만원 못 벌어
농어민과 달리 정부 지원도 제외
“월 소득이 200만원이 안 돼요. 배달 수수료에 원재룟값, 임대료 등을 빼면 혼자서 하루 14시간을 일해도 남는 게 없어요.
서울에서 칼국숫집을 하는 A씨는 17일 국민연금 보험료율내는 돈이 현행 9%에서 13%로 인상될 수 있다는 소식에 “소득 빼고 다 오르는데 보험료율까지 오르면 어떡하느냐”며 이렇게 하소연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3% 조정하는 연금개혁안에 여야가 잠정 합의하면서 연금개혁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가뜩이나 장사가 안돼 폐업 위기에 몰린 영세 자영업자들은 보험료 인상 부담에 냉가슴을 두 번 앓고 있다. 사업주가 보험료 절반을 내주는 직장가입자와 달리, 소규모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등 지역가입자들은 오른 보험료 전액을 오롯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면 월 소득 300만원 직장인은 보험료개인 부담분가 올해 13만 5000원에서 2033년 19만 5000원으로 오르지만, 똑같이 월 300만원을 버는 지역가입자는 월 27만원에서 39만원으로 오른다. 월 소득 300만원 직장가입자가 낼 보험료월 19만 5000원가 월 소득 200만원 지역가입자가 낼 보험료월 26만원보다 적다. 0.5%포인트씩 8년에 걸쳐 올리더라도 체감 속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국민연금 제도에서 보험료 전액을 부담하는 이들은 도시 지역가입자뿐이다. 농어민재산 10억원 이상, 종합소득 6000만원 이상 제외은 월 소득이 103만원 이하인 경우 월 보험료의 50%, 103만원 초과 시 월 4만 6350원을 국가가 지원해주고 있다. 반면 지역가입자는 폐업 등으로 보험료 납부를 중단했다가 다시 내기 시작한 이들에게만 12개월에 걸쳐 월 보험료의 절반#xfeff;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지역가입자 중 월 소득 300만원 미만이 92.5%, 83.2%가 월 소득 200만원 미만, 30.8%가 100만원 미만일 정도로 대다수가 힘들게 먹고사는데도 지역가입자 지원책은 없다. 직장가입자는 월 소득 300만원 미만이 47.8%로 절반이 안 된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대표는 “저소득 지역가입자 지원 대책 없이 보험료율만 올리면 지역가입자들은 인상 속도를 따라올 수 없다”며 “도시 지역가입자에게도 농어민에 준해 지원해야 보험료율 인상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소득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는 수년 전부터 나왔고, 국회도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안은 마련되지 않았다. 정부도 2023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발표하며 보험료 지원 대상에 저소득 지역가입자를 포함하고, 지원 기간을 최대 3년으로 늘려 농어민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국회 논의가 필요하다며 후속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이현정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살려달라’는 김새론에 ‘눈물의 여왕’ 손해 보면 배상해야 한다고” 故 김새론 유족, 법적 대응 예고
☞ 이시영, 사업가 남편과 ‘각자의 길’ 가기로…결혼 8년 만
☞ 임신 9개월 된 10대女 납치해 태아 꺼내 간 20대女…더 끔찍한 사실은
☞ ‘이 물고기’ 절대 날로 먹지 마세요…“심하면 암 유발” 충격
☞ 팔짱 끼고… 고현정, 생일 기념 ‘가족과 함께한 사진’ 공개
☞ 아이유와 호흡 맞춘 이 배우…‘폭싹 속았수다’ 유작이었다
☞ 김수현 출연 강행 ‘굿데이’ 고개 숙였다 “최대한 편집할 것”
☞ “깊이 재운 줄 알았는데…” 4세 아이 日호텔서 추락해 사망
☞ “런닝맨 졸업식”…지석진 “너무나 즐거웠다” 감사 인사
☞ “수술하다 죽을 수도”…‘현빈 얼굴’ 원한 개그맨, 결국
[ 관련기사 ]
☞ 1100억 사기 혐의 벗은 실소유주…‘빗썸’ 1호 상장 코인거래소 탄력’
☞ 해킹 은폐 의혹에 상폐 위기… ‘위메이드’ 고개 숙였다
☞ 서울 ‘국평’ 넉 달 새 2억 뛴 14억대… 토허제 풀리자 강남권 갭투자 의심 거래 두 배↑
☞ 올해 원달러 평균 1450.7원… 외환위기 후 최고
☞ 금값 3000弗 첫 돌파… “연내 3500弗”, ‘김치프리미엄’ 빠져 국내선 15% 하락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月300만원 소득 땐 보험료 40만원
지역가입자 92%, 300만원 못 벌어
농어민과 달리 정부 지원도 제외
“월 소득이 200만원이 안 돼요. 배달 수수료에 원재룟값, 임대료 등을 빼면 혼자서 하루 14시간을 일해도 남는 게 없어요.
서울에서 칼국숫집을 하는 A씨는 17일 국민연금 보험료율내는 돈이 현행 9%에서 13%로 인상될 수 있다는 소식에 “소득 빼고 다 오르는데 보험료율까지 오르면 어떡하느냐”며 이렇게 하소연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3% 조정하는 연금개혁안에 여야가 잠정 합의하면서 연금개혁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가뜩이나 장사가 안돼 폐업 위기에 몰린 영세 자영업자들은 보험료 인상 부담에 냉가슴을 두 번 앓고 있다. 사업주가 보험료 절반을 내주는 직장가입자와 달리, 소규모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등 지역가입자들은 오른 보험료 전액을 오롯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면 월 소득 300만원 직장인은 보험료개인 부담분가 올해 13만 5000원에서 2033년 19만 5000원으로 오르지만, 똑같이 월 300만원을 버는 지역가입자는 월 27만원에서 39만원으로 오른다. 월 소득 300만원 직장가입자가 낼 보험료월 19만 5000원가 월 소득 200만원 지역가입자가 낼 보험료월 26만원보다 적다. 0.5%포인트씩 8년에 걸쳐 올리더라도 체감 속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국민연금 제도에서 보험료 전액을 부담하는 이들은 도시 지역가입자뿐이다. 농어민재산 10억원 이상, 종합소득 6000만원 이상 제외은 월 소득이 103만원 이하인 경우 월 보험료의 50%, 103만원 초과 시 월 4만 6350원을 국가가 지원해주고 있다. 반면 지역가입자는 폐업 등으로 보험료 납부를 중단했다가 다시 내기 시작한 이들에게만 12개월에 걸쳐 월 보험료의 절반#xfeff;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지역가입자 중 월 소득 300만원 미만이 92.5%, 83.2%가 월 소득 200만원 미만, 30.8%가 100만원 미만일 정도로 대다수가 힘들게 먹고사는데도 지역가입자 지원책은 없다. 직장가입자는 월 소득 300만원 미만이 47.8%로 절반이 안 된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대표는 “저소득 지역가입자 지원 대책 없이 보험료율만 올리면 지역가입자들은 인상 속도를 따라올 수 없다”며 “도시 지역가입자에게도 농어민에 준해 지원해야 보험료율 인상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소득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는 수년 전부터 나왔고, 국회도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안은 마련되지 않았다. 정부도 2023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발표하며 보험료 지원 대상에 저소득 지역가입자를 포함하고, 지원 기간을 최대 3년으로 늘려 농어민 수준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국회 논의가 필요하다며 후속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이현정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살려달라’는 김새론에 ‘눈물의 여왕’ 손해 보면 배상해야 한다고” 故 김새론 유족, 법적 대응 예고
☞ 이시영, 사업가 남편과 ‘각자의 길’ 가기로…결혼 8년 만
☞ 임신 9개월 된 10대女 납치해 태아 꺼내 간 20대女…더 끔찍한 사실은
☞ ‘이 물고기’ 절대 날로 먹지 마세요…“심하면 암 유발” 충격
☞ 팔짱 끼고… 고현정, 생일 기념 ‘가족과 함께한 사진’ 공개
☞ 아이유와 호흡 맞춘 이 배우…‘폭싹 속았수다’ 유작이었다
☞ 김수현 출연 강행 ‘굿데이’ 고개 숙였다 “최대한 편집할 것”
☞ “깊이 재운 줄 알았는데…” 4세 아이 日호텔서 추락해 사망
☞ “런닝맨 졸업식”…지석진 “너무나 즐거웠다” 감사 인사
☞ “수술하다 죽을 수도”…‘현빈 얼굴’ 원한 개그맨, 결국
[ 관련기사 ]
☞ 1100억 사기 혐의 벗은 실소유주…‘빗썸’ 1호 상장 코인거래소 탄력’
☞ 해킹 은폐 의혹에 상폐 위기… ‘위메이드’ 고개 숙였다
☞ 서울 ‘국평’ 넉 달 새 2억 뛴 14억대… 토허제 풀리자 강남권 갭투자 의심 거래 두 배↑
☞ 올해 원달러 평균 1450.7원… 외환위기 후 최고
☞ 금값 3000弗 첫 돌파… “연내 3500弗”, ‘김치프리미엄’ 빠져 국내선 15% 하락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레인지에…백종원 또 고개 숙였다 "신입직원 실수... 25.03.18
- 다음글국내 ETF 1위 삼성자산운용, 차별화 상품으로 승부수 25.03.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