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인플레 부르나…트럼프에 찍힌 나라들, 줄줄이 금리 인하
페이지 정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떨어트린 관세 폭탄이 전 세계 통화정책까지 뒤흔들고 있다. 관세 부과 대상으로 찍은 캐나다?멕시코와 유럽은 줄줄이 금리 인하에 나섰다. 중국은 재정적자를 역대 최대까지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대규모 돈 풀기를 예고했다. 기나긴 긴축으로 억눌러온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미국 관세 선포에 금리 인하 대응
16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은 12일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캐나다는 지난해 6월 금리 인하를 시작한 이후 이날까지 7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티프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는 “새로운 미국 관세의 범위와 지속기간에 따라 경제 영향이 심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해 그는 “이미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경민 기자
━
유럽·중국 등 돈 풀기 나서
가파른 통화정책 완화에 나선 캐나다?멕시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관세 부과를 밝힌 국가다. 유럽 역시 미국과의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데서 공통점이 있다. 캐나다는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 부과에 대응해 298억 캐나다달러약 30조원 규모의 보복 관세 시행 계획을 내놨다. EU도 다음 달부터 단계적으로 260억 유로약 41조원 규모의 미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12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
유동성 증가로 인플레 다시 오나
미국에 대한 반발로 주요 국가들이 돈 풀기에 나서면서 또다시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팬데믹 대응을 위한 확장 재정이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던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물가가 오른다. 지난달 미국의 전년 대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8%로, 통상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 목표로 삼는 2%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관세 자체로 인해 물가가 오를 것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미국 신용평가사 Samp;P 글로벌 레이팅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유지될 경우 올해 물가가 0.5~0.7%포인트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당장 한국이 보복 관세에 나서지 않더라도 다른 나라의 물가가 오르면 수입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강명헌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통화정책 완화와 재정 확대는 물가상승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의 관세와 그 보복관세까지 물가를 자극하면서 또다시 이전과 같은 인플레이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는 둔화하는데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미친개 아들에 질렸다…엄마 죽고 5년뒤 터진 일
▶ "성관계 어렵다" 스타벅스, 727억 배상, 무슨 일
▶ 온몸 곪아 묶인채 괴성…"난 살아있습니까"
▶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 만리장성서 엉덩이 노출뒤 찰칵…日남녀 충격 행동
▶ 故휘성, 눈물 속 발인… 마지막 가는 길 이 곡 흘렀다
▶ "20억 없다? 가지 마라" 국제학교 뜯어말리는 이유
▶ "암투병 자식 주려고" 마트서 소고기 훔친 엄마 결국
▶ 기네스 오른 日 108세 女이발사…장수비결 뭐길래
▶ 폭싹 속았수다 전세계 대박…제주 아주 신났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진호 jeong.jinho@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여의도 재건축도 잰걸음, 분쟁 끝내고 속도 내는 주요 단지들 25.03.16
- 다음글개미들 폭싹 속았수다 금요일마다 기다리는 이유는?[종목Pick] 25.03.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