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전문가·중개사 "올해 전국 집값↓"…수도권 전망은 갈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부동산전문가·중개사 "올해 전국 집값↓"…수도권 전망은 갈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3-16 09:01

본문

KB금융 경영연구소 부동산 보고서

부동산전문가·중개사 quot;올해 전국 집값↓quot;…수도권 전망은 갈려부동산 전문가·중개사 "올해 전국 집값↓"…수도권 전망은 엇갈려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2020.12.31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부동산 관련 전문가와 공인중개사들은 대체로 올해 전국 집값이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수도권 주택 가격의 경우 전망이 엇갈렸다.

아울러 KB금융은 올해 주택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대출이나 공급 관련 규제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AKR20250316000200002_03_i.jpg2024년 지역별 연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 등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작년 집값 서울 2%↑·대구 2.7%↓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6일 발표한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0.2% 떨어졌다.

하지만 작년 2분기 이후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집값은 가파르게 올라 지역별 상승률에 차이를 보였다. 서울2.0%,·경기0.3%·충북0.1%은 올랐지만 대구-2.7%·부산-2.0%·광주-1.2%는 떨어졌다.

지난해 연간 주택매매 거래량은 64만2천호로 전년보다 15.8% 늘었다. 하지만 직전 10년2012∼2021년 평균과 비교하면 66% 수준에 불과했다.

전셋값의 경우 작년 전국에서 1.4%, 수도권에서 2.9% 올랐다.

AKR20250316000200002_01_i.jpg2025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 전망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수도권 주택경기,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회복"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지난 1월 10∼24일 건설·시행·학계·금융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KB 협력 공인중개사, KB 자산관리전문가PB를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올해 주택매매 가격 전망을 묻자 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79%, PB의 62%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각 그룹에서 가장 응답률이 높은 하락 폭 범위는 ▲ 전문가 -3∼-1% ▲ 공인중개사 -1∼0% ▲ PB -5∼-3%였다.

하지만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 관련 질문에는 전문가와 공인중개사의 전망이 엇갈렸다.

전문가의 경우 상승 전망이 54%로 우세했지만, 공인중개사의 경우 하락 전망이 56%로 더 많았다. 전문가는 대체로 가격 상승 폭을 1∼3%로 예상했다.

수도권 주택경기 회복 시점의 경우 전문가는 올해 하반기36%와 내년38%을 비슷한 비율로 전망했다. 공인중개사 사이에서는 올해 하반기41% 관측이 가장 우세했다.

설문 대상자들은 만약 올해 집값이 오른다면 금리 하락, 주택공급 부족, 국내외 경기 개선, 정부 규제 완화가 배경이 될 것으로 봤다.

반대로 집값이 떨어질 경우 가장 큰 요인으로는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을 가장 많이 꼽았다.

주택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는 규제 완화가 주로 거론됐다. 공인중개사 사이에서는 대출·주택 세제·다주택자 관련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주택임대사업자 관련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AKR20250316000200002_02_i.jpg2025년 지역별 주택 매매가격 전망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올해 주택시장 주요 변수는 3단계 스트레스 DSR·공급 정책 등"

아울러 연구소는 올해 주택시장이 정부 정책 방향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를 비롯한 대출 규제, 3기 신도시 등 공공 주도의 주택 공급 등이 가장 큰 변수로 지목됐다.

눈여겨봐야 할 올해 7대 주택시장 이슈로는 ▲ 주택시장 불안의 핵심인 공급물량 ▲ 비수도권 주택시장 반등 가능성 ▲ 금리인하와 대출 규제 ▲ 연립·다세대주택 등 비非아파트 시장 정상화 가능성 ▲ 노후 계획도시 정비사업 ▲ 서울 아파트 시장 ▲ 상승세가 이어지는 전세시장을 꼽았다.

shk999@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김수현 측, 김새론 모친에 "뵙고 싶다…공개 시시비비 부적절"
[샷!] "서이초 사건 후에도 달라진 게 없다"
"가라는 엄마, 말리는 선배"…의정갈등에 학교 밖 맴도는 의대생
"인터넷, 한국 천국·북한 지옥" 베네수엘라 언론서 주목
살인예고 글 올려 신고된 유튜버, 헌재 주변서 계속 활동
폴란드 총리, 귀화 배우에 "007 연기하려면 군사훈련을"
성범죄 피해 듣고는 "합의하고 10% 달라" 종용한 파렴치 30대
인천공항 자회사 20대 직원, 공항 주차타워서 추락해 사망
서산 고물상서 굴착기 작업 중 집게에 찔린 60대 숨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66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96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