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빨리 부자 되려다 망한다"…미국 전문가의 경고
페이지 정보

본문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 투자 성향이 미국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오웬 라몬트 미국 아카디안 자산 운용 수석 부사장은 홈페이지에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The Squid Game stock market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유액이 지난해 기준 1121억 달러약 163조원로 미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62조 달러의 0.2%에 불과한데 특정 틈새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면서 "미국 주식시장이 한국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이 급등한 사례를 언급했다. 지난해 말 한국 투자자들이 1억1100만 달러약1610억원를 집중 매수한 리게티 컴퓨팅이 한 달 만에 주가가 1400% 폭등한 것을 예로 들었다. 현재 해당 주식은 고점 대비 55% 하락했다.
또 한국 투자자들이 인공지능AI 관련 주식, 소형모듈식 원자로SMR 관련 기업, 가상자산과 레버리지 ETF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을 키웠다고 분석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투자자들이 주식시장 붕괴 직전에 특정 종목을 집중 매수하는 패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8년 리먼 브러더스 붕괴 직전, 2018년 볼마게돈Volmageddon 사태, 니콜라 사기 의혹,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 등 미국 금융 역사의 재앙 직전에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관련 종목 매수가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라몬트 부사장은 이러한 투자 행태를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 비유했다. 그는 "오징어 게임 참가자들이 규칙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위험한 게임에 뛰어들듯, 한국 투자자들도 빠르게 부자가 되기 위해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에 나선다"며 "대부분 좋지 않은 결말을 맞이한다"고 경고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전 세계 개인 투자자들에게 지루하더라도 덱스 펀드를 매수하는 것을 추천하며 오징어 게임에 참가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최선의 결정은 아예 참가하지 않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관련기사]
▶ "김수현 제품 안 사"…불매 움직임에 기업들 손절 시작
▶ "입주하자마자 인테리어 교체공사#x22ef;잊어주세요" [현장]
▶ "휴머노이드 로봇이 한국 제조업 부흥의 불씨 될 것"
▶ "홈플러스 정산 재개했는데"#x22ef;점주들은 사시나무
▶ 이통3사, 갤럭시 S25 공시지원금 최대 50만원으로 상향
▶ "흔적부터 지우자"#x22ef;유통家 김수현 논란에 속속 손절
▶ 최재해 탄핵 전원일치 기각…"부실·표적감사 인정 안돼"[종합]
관련링크
- 이전글"K라서 사는 게 아니다"…일본 내 K뷰티 열풍 비결은 속도감·트렌디 25.03.16
- 다음글[단독] HD현대 메디플러스솔루션 대표에 장석원 전 롯데헬스 상무 25.03.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