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 후 불타는 강남…서울시, 한 달 만에 재지정 검토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서울시가 토지거래 허가 구역을 해제한 이후 강남 지역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단속을 피하려 문 닫고 영업하는 부동산까지 등장할 만큼 거래량이 폭증하자, 서울시가 한 달 만에 다시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정아람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상가입니다.
영업이 한창이어야 할 시간대지만 웬일인지 대부분 불이 꺼져 있습니다.
여기엔 총 16곳의 부동산이 있는데요 오늘17일 문을 열고 영업을 하고 있는 곳은 단 두 곳뿐이었습니다.
[공인중개사/서울 잠실동 : 정말 불장인 거처럼…그거 때문에 단속이 계속 나오는 거 같아.]
한 달 새 치솟은 아파트 값에 정부가 집중 단속에 나서면서, 아예 부동산 문을 닫은 겁니다.
블라인드를 쳐 놓거나, 전화로 상담한 뒤 현장에서 만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근 단지 다른 상가도 부동산 30여 곳 가운데 대여섯 군데만 문을 열었습니다.
[공인중개사/서울 압구정동 : 지금 다 그래요. 반포도 그렇고 압구정도 그렇고 문 잠그고 안에서 그냥 조용히 영업하거나 근처 커피숍에서 하거나. 서울시 합동 단속반에서 무작위로 들어가서 계약서 보자고 그러고. 다른 거로 괜히 걸릴까 봐…]
하지만 정부 단속에도 집값 상승세는 더 가팔라졌습니다.
잠실 엘스 전용 84㎡는 지난달 26일 30억원에 손바뀜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열흘 새 1억원 넘게 오른 겁니다.
실제 토허제 해제 특수를 누리는 강남 3구 아파트값 상승폭은 2018년 이후 6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강남 3구에선 전세 낀 매매, 이른바 갭 투자도 다시 성행하는 분위기입니다.
이같은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토허제 해제를 주도한 서울시는 난감한 분위기입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거래량의 변화나 가격 상승의 정도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아파트값이 비정상적으로 뛸 경우엔 토허제 재지정도 검토하겠단 입장인데 한달 사이 오락가락하는 정책에 시장 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영상취재 정재우 / 영상편집 김지우 / 영상디자인 김관후]
정아람 기자 aa@jtbc.co.kr
[핫클릭]
▶ 대통령실 "민감국가 확정 아니"라면서도.."설명 들은 건 없어"
▶ 백종원 더본코리아 또..이번엔 농약분무기 주스 살포 논란
▶ 이대로 못 보내…25년 친구 곁 지킨 코끼리의 우정
▶ 4명 사망 반복 않도록…경찰, 헌재 주변 진공상태 만든다
▶ "바퀴벌레 먹으며 버텨"…95일 표류 끝 구조된 페루 남성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토지거래 허가 구역을 해제한 이후 강남 지역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단속을 피하려 문 닫고 영업하는 부동산까지 등장할 만큼 거래량이 폭증하자, 서울시가 한 달 만에 다시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정아람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잠실의 한 아파트 상가입니다.
영업이 한창이어야 할 시간대지만 웬일인지 대부분 불이 꺼져 있습니다.
여기엔 총 16곳의 부동산이 있는데요 오늘17일 문을 열고 영업을 하고 있는 곳은 단 두 곳뿐이었습니다.
[공인중개사/서울 잠실동 : 정말 불장인 거처럼…그거 때문에 단속이 계속 나오는 거 같아.]
한 달 새 치솟은 아파트 값에 정부가 집중 단속에 나서면서, 아예 부동산 문을 닫은 겁니다.
블라인드를 쳐 놓거나, 전화로 상담한 뒤 현장에서 만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근 단지 다른 상가도 부동산 30여 곳 가운데 대여섯 군데만 문을 열었습니다.
[공인중개사/서울 압구정동 : 지금 다 그래요. 반포도 그렇고 압구정도 그렇고 문 잠그고 안에서 그냥 조용히 영업하거나 근처 커피숍에서 하거나. 서울시 합동 단속반에서 무작위로 들어가서 계약서 보자고 그러고. 다른 거로 괜히 걸릴까 봐…]
하지만 정부 단속에도 집값 상승세는 더 가팔라졌습니다.
잠실 엘스 전용 84㎡는 지난달 26일 30억원에 손바뀜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열흘 새 1억원 넘게 오른 겁니다.
실제 토허제 해제 특수를 누리는 강남 3구 아파트값 상승폭은 2018년 이후 6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강남 3구에선 전세 낀 매매, 이른바 갭 투자도 다시 성행하는 분위기입니다.
이같은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토허제 해제를 주도한 서울시는 난감한 분위기입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거래량의 변화나 가격 상승의 정도를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아파트값이 비정상적으로 뛸 경우엔 토허제 재지정도 검토하겠단 입장인데 한달 사이 오락가락하는 정책에 시장 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영상취재 정재우 / 영상편집 김지우 / 영상디자인 김관후]
정아람 기자 aa@jtbc.co.kr
[핫클릭]
▶ 대통령실 "민감국가 확정 아니"라면서도.."설명 들은 건 없어"
▶ 백종원 더본코리아 또..이번엔 농약분무기 주스 살포 논란
▶ 이대로 못 보내…25년 친구 곁 지킨 코끼리의 우정
▶ 4명 사망 반복 않도록…경찰, 헌재 주변 진공상태 만든다
▶ "바퀴벌레 먹으며 버텨"…95일 표류 끝 구조된 페루 남성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LG전자, 작년 RD 비용 역대 최대…올해 4.3조 투자한다종합 25.03.17
- 다음글북한, 비트코인 보유 세계 3위…엘살바도르보다 두 배 많아 25.03.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