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주총회 분위기 젠슨황 입에 달렸다?
페이지 정보

본문
HBM 공급 여부 등 제슨황 발언에 영향 받을 듯
트럼프발 보조금 삭감-반도체 관세 대응도 관심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삼성전자가 오는 19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5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삼성전자 주총은 부모와 함께 참석하는 어린이 주주는 물론 대학생 투자 동아리, 중장년층 주주까지 수백 명 이상이 참석한다.
많은 주주가 참여하고, 삼성전자가 주총 일정에 주주와의 대화 시간을 마련하고 있는 만큼 경영진을 향한 날카로운 지적과 질문도 적지 않다.

올해 주총에서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엔비디아 공급 여부를 포함한 반도체 사업 경쟁력 회복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사업 추진 상황 △파운드리 사업의 미국 추가 투자 여부 등의 질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고 있는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릴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 주총에 앞서 17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서밋 GTC 2025가 열리기 때문이다.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기조연설과 기자간담회도 18일 예정돼있다.
젠슨황 CEO는 지난해 GTC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의 HBM을 사용하고 있나라는 질문에 "현재 테스트 중으로 기대가 크다"고 답했는데, 이 발언이 알려진 후 삼성전자 주가가 2.1% 오르기도 했다.
이번에도 젠슨황 CEO가 삼성전자에 대해 언급한다면 주주들의 높은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2기 출범 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미국 반도체 공장 투자와 반도체 관세 영향도 주주들이 관심 있는 주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 의회 합동연설에서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을 폐지하고 기업들에 약속한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공언하면서다.
삼성전자 공장이 자리한 텍사스주를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이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을 삼성전자가 어떻게 전개할 지에 대한 질문도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올해 1월 자회사로 편입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됐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향은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
주총에서 삼성전자 경영진이 내놓을 메시지도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매년 주총에서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과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이 사업전략을 발표한다.
올해도 한종희 DX부문장 부회장과 전영현 DS부문장 부회장이 직접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주주와의 대화를 통해 질의응답에 나설 예정이다.
삼성전자 소액주주는 지난 연말 기준 516만210명에 이른다. 2023년말467만2039명보다 48만명 늘면서 500만 주주를 회복했다.
다만 주가는 지난해 7월10일 종가 8만7800원 기록 후 30%이상 하락해 5만원대에 머물고 있다.
한편 주요 상장사 주총은 오는 19일 삼성전자, 삼성전기를 시작으로 현대차와 포스코홀딩스는 20일, LG전자는 25일, ㈜LG, SK주는 26일, SK하이닉스는 27일 열릴 예정이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관련기사]
▶ 윤석열 비상계엄→미국 "충격적"→美, 한국 민감국가로 지정
▶ "제주 방언 폭싹 속았수다, 해외에서는 어떻게 번역했을까?"
▶ 아이폰 패널 물량 경쟁 격화…삼성 OLED 가격 29% 뚝
▶ 연금 개혁하면, 보험료 얼마나 오르고 연금 얼마큼 더 받나
▶ "휴머노이드 로봇이 한국 제조업 부흥의 불씨 될 것"
▶ "한국인, 빨리 부자 되려다 망한다"…미국 전문가의 경고
▶ "비곗덩어리 거르고, 수박 들여다본다#x22ef;AI가"
관련링크
- 이전글대접부터 수저받침까지 깐깐하게…대기업이 손으로 빚은 식기 [히든카드M] 25.03.17
- 다음글KCC글라스, 신임 사외이사에 현대차 물류통 출신 25.03.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