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들 캄캄한 삶…부동산 메여 93%가 내돈내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 노인들 캄캄한 삶…부동산 메여 93%가 내돈내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4회 작성일 23-09-27 00:13

본문

뉴스 기사
65세 이상 고용률 36.2%로 껑충
연금·퇴직금으로 생활 8.3% 그쳐

한국 노인들 캄캄한 삶…부동산 메여 93%가 내돈내산

한국 고령층이 보유한 자산의 80%가 부동산인 것으로 조사됐다. 65세 이상 일하는 고령자의 10명 중 9명은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으로만 생활하는 비중은 8.3%에 불과했다.

26일 통계청의 ‘2023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50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 중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8.4%에 달했다. 통계청은 고령 인구 비중이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전년보다 4316만원 증가한 4억536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가구4억5602만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고령자들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이었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가 보유한 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82.4%에 달했다. 저축은 12.4%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일하는 노인은 늘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중 일하는 고령자 수는 모두 326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고용률은 10년 전보다 6.1% 포인트 오른 36.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OECD 38개국 가운데 2021년 기준 65세 이상 평균 고용률15.0%을 넘기는 국가는 한국34.9%, 일본25.1%, 스웨덴19.2% 등 11개국이었다. 한국이 가장 높은 고용률을 기록했다.


65세 이상 일하는 고령자의 93%는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근로·사업소득이 87.8%로 가장 많았다. 연금·퇴직금으로 생활하는 비중은 8.3%에 그쳤다.

이에 따라 가족 부양 대신 정부 지원을 바라는 노인 비율도 높았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54.7%가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부모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고 답변했다.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23.6%였다.

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54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3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