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는 밥부터 다르다"…4년새 2배 커진 고급 휘발유 시장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내 차는 밥부터 다르다"…4년새 2배 커진 고급 휘발유 시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3-17 00:02

본문




정유업계 불황 돌파구
16일 오피넷에 따르면 3월 둘째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 대비 15.9원 내린 L당 1699원이었다. 고급 휘발유는 300원가량 더 비싸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주유소의 가격게시판. [뉴스1]

16일 오피넷에 따르면 3월 둘째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 대비 15.9원 내린 L당 1699원이었다. 고급 휘발유는 300원가량 더 비싸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주유소의 가격게시판. [뉴스1]

직장인 박모43씨가 애지중지하는 ‘보물 1호’는 자신 소유의 승용차인 BMW M3다. 고성능차라 찻값만 1억4000만원가량 나간다. 아끼는 만큼 손 세차는 기본이다. 한 달에 1번쯤 ‘고급 휘발유’만 넣는다. 연비가 L당 7.9㎞라 기름값 부담이 만만치 않다. 하지만 박씨는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는 “해외 생활을 3년쯤 했는데 아끼는 차에 고급 휘발유를 넣는 사람이 많더라”며 “귀한 차라 기름밥부터 다르게 주고 싶다는 생각이 크다”고 말했다.

고급 휘발유가 조용히 인기를 끈다. HD현대오일뱅크는 16일 자사의 초超고급 휘발유옥탄가 102 이상 제품인 ‘울트라 카젠’의 누적 판매량이 20만 배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만 배럴은 수퍼카 40만 대를 주유할 수 있는 양이다. 2021년 국내에선 유일하게 초고급 휘발유를 출시한 지 3년 만이다.


HD현대 관계자는 “벤츠·BMW·포르쉐 같은 고급차를 넘어 수퍼카로 꼽히는 람보르기니·페라리 등 차주에게 인기를 끈다”고 설명했다.

고급 휘발유는 일반 휘발유옥탄가 91~93와 달리 옥탄가가 94 이상인 제품을 말한다. 옥탄가가 높을수록 ‘노킹이상 폭발’ 현상이 줄어든다.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는 만큼 엔진 소음이나 기름 찌꺼기가 줄고 연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고급 휘발유는 시장이 성숙한 선진국과 달리 국내에선 여전히 ‘사치품’으로 여겨진다. 고급 휘발유가 국내 전체 휘발유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에 불과하다2023년 기준. 일본13%, 미국8.4% 등 해외 시장과 비교할 때 아직 더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국내 고급 휘발유 시장은 2020년 173만 배럴에서 지난해 392만 배럴로 약 2.3배 규모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일반 휘발유 시장 규모가 16%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고급 휘발유를 취급하는 주유소도 같은 기간 전국 1042곳에서 1669개소로 62.4% 늘었다.

고급 휘발유는 일반 휘발유 대비 가격이 15~20% 이상 높은 편이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15일 기준 전국 주유소에서 파는 보통 휘발유 가격은 L당 1687원이다. 반면 고급 휘발유 가격은 L당 1931원이다. 하지만 고급차량 소유자를 공략하는 틈새시장으로서는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일반 휘발유보다 탄소 저감 효과가 크다는 점도 ‘친환경’ 추세와 걸맞다. 정유 4사는 카젠HD현대오일뱅크, 킥스 프라임GS칼텍스, 솔룩스SK에너지, 에쓰 가솔린 프리미엄에쓰오일 등 고급 휘발유 제품에 공을 들이고 있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영유 나와 딱 3년 보내"…신분당선 새로 뜬 라인
미친개 아들에 질렸다…엄마 죽고 5년뒤 터진 일
"성관계 어렵다" 스타벅스, 727억 물어줄 판…왜
온몸 곪아 묶인채 괴성…"난 살아있습니까"
"역겨운 방송" 크롭톱 8살에 화장한 소녀들 발칵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만리장성서 엉덩이 노출뒤 찰칵…日남녀 충격 행동
"20억 없다? 가지 마라" 국제학교 뜯어말리는 이유
故휘성, 눈물 속 발인… 마지막 가는 길 이 곡 흘렀다
"암투병 자식 주려고" 마트서 소고기 훔친 엄마 결국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환 khkim@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89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08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