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공들인 애플 야심작…공개하자마자 탄식 쏟아진 이유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7년 공들인 애플 야심작…공개하자마자 탄식 쏟아진 이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2회 작성일 23-06-07 21:02

본문

뉴스 기사

애플 비전 프로 착용후 보여지는 화면.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애플 비전 프로의 가격은 3499달러부터입니다."

새로운 혁신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를 모은 애플의 혼합현실MR 헤드셋이 지난 5일현지시간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공개된 직후 현장 곳곳에서 탄식이 들려왔다. 당초 업계 예상 가격인 3000달러보다 높은 가격이 매겨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날 애플은 본사가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에서 WWDC를 열고 MR 헤드셋 비전 프로Vision Pro를 선보였다. MR 헤드셋은 2014년 선보인 애플워치 이후 애플이 9년 만에 내놓은 새로운 기기다. 1000명 넘는 개발자들이 7년 넘게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현실 구분 없어진다…"비전 프로 향후 아이폰 대체"

비전 프로를 착용한 상태에서 홈 화면.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MR은 증강현실AR을 확장한 개념으로 현실 세계에 가상현실VR을 결합해 현실과 가상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기술이다. 애플은 비전 프로를 착용형 공간 컴퓨팅이라고 지칭하며 그동안 PC나 스마트폰에서 사용했던 기능을 3차원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메타버스 등의 개념이 아니라 공간 컴퓨팅이라 강조한 게 포인트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비전 프로에 대해 "기술의 다음 장next chapter이자 큰 도약"이라며 "맥Mac이 개인 컴퓨터를, 아이폰이 모바일 컴퓨팅의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애플 비전 프로는 우리에게 공간 컴퓨팅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전 프로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해 스키 고글 형태로 제작됐다. 착용하면 공간 제약 없이 애플리케이션앱을 원하는 크기로 배열할 수 있으며, 별도 컨트롤러 없이 눈동자 움직임과 손가락 제스처만으로 기기 제어가 가능하다. 예컨대 비전 프로를 착용하고 페이스타임을 사용하면 이용자 모습이 실물 크기의 디지털로 재현되며, 영화를 감상할 때는 화면을 30m100피트까지 늘려 마치 영화관 대형 스크린을 통해 감상하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사진=애플 홈페이지 캡처


또 전방 카메라를 사용해 3D 동영상 촬영 기능을 사용하면 자신이 현장에 참가하고 있는 것처럼 생동감을 선사한다고 애플은 소개했다. 다만 내장 배터리가 없다는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직접 연결에서 사용하거나 외장 배터리를 써야 해 불편함이 존재한다. 외장 배터리를 이용하면 최대 2시간 사용 가능하다.

애플은 비전 프로가 현실과 가상 세계를 매끄럽게 잇는 역할을 할 것이며 앞으로 보편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팀 쿡은 기자회견을 통해 "향후 10년 안에 비전 프로와 같은 기기가 아이폰을 대신할 것으로 믿는다"고 언급했다.
456만원대 비싼 가격 흠…팀 쿡 "상황에 맞게 구매할 것"

영상=틱톡 아이디 jakekrol


그러나 비전 프로 소개 영상을 본 대중의 반응은 다소 싸늘한 분위기다. 무엇보다 구매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가격이 발목을 잡아서다. 비전 프로 가격은 최저 3499달러약 456만원으로, 당초 예상 가격인 3000달러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 매겨졌다.

실제로 가격이 공개되자 애플 파크 곳곳에서는 놀랍다는 탄식과 헛웃음이 울려 퍼지기도 했다. 앞서 메타가 출시한 전문가용 VR 헤드셋 메타 퀘스트 프로가 1499달러약 195만원로 책정됐지만 비현실적인 가격이란 비판이 나오면서 최근 가격은 999달러약 130만원로 대폭 낮췄다.

미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비전 프로 가격에 대해 "3500달러는 소비자 가격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팀 쿡은 지난 6일현지시간 미 ABC 방송 굿모닝 아메리카에 출연해 일반 소비자에게 적정한 가격이냐라는 질문에 대해 "잘 모르겠다. 사람들은 자신의 재정 상황 등에 따라 선택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전 프로는 내일의 공학Tomorrows engineering이 담긴 기기로, 오늘 구매할 수 있는 기기에서 내일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라며 "헤드셋 안에 담긴 엔지니어링의 깊이는 놀라운 수준으로,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생동감 넘치는 사용 환경을 제공해 혁신적인 제품으로 여겨지지만 다소 무거운 기기를 유선으로 번거롭게 사용해야 하는 등 휴대성이 좋지 않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조안나 스턴 테크 칼럼니스트는 비전 프로를 사용한 뒤 "코와 이마에 기기 무게가 느껴졌고, 약간 메스꺼웠다"고 전했다. 와이어드Wired의 로렌 구드 테크 담당 기자는 "가상환경 몰입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좋았다"면서도 "외부 배터리팩이 무거운 느낌을 받았고 헤드셋을 벗었을 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고 덧붙였다.

당장 시장의 반응은 미온적이지만, 향후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CNN은 "시장의 회의론이 틀렸다고 입증할 수 있는 기업이 있다면 그건 애플일 것"이라며 "엄청난 고객 기반이 있는 애플의 진입이 헤드셋 업계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사진=연합뉴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95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37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