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비상경영 돌입…임원 급여 삭감·희망퇴직종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14 09:52 조회 5 댓글 0본문
- 전 임원 급여 20% 삭감…희망퇴직 검토
- 中 ‘저가 철강재 공습’ 탓에 수익성 악화
- 美 철강관세에 노조 파업까지 위기 심화
- 中 ‘저가 철강재 공습’ 탓에 수익성 악화
- 美 철강관세에 노조 파업까지 위기 심화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현대제철이 전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을 검토하는 등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중국발 저가 철강재 공습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한 가운데 트럼프 2기 철강 25% 관세 시행과 노동조합의 거듭된 파업으로 위기감이 커진 탓이다.
현대제철004020은 14일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하면서 “지난 13일부로 전 임원의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도 검토 중”이라며 “최근 국내외 심각한 위기 상황에서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특단의 조치”라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이외에 해외 출장 최소화 등을 포함해 다방면으로 ‘극한의 원가 절감’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비상경영 돌입은 최근 현대제철을 둘러싼 대내외 경영환경이 크게 악화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제철은 국내 건설경기 악화에 따라 수요가 위축되자 최근 포항 2공장 가동을 축소하고 이날까지 포항공장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당진제철소 및 인천공장 전환 배치를 신청받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일본의 저가 철강재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자, 후판과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진행하는 등 불공정 무역에도 대응 중이다.
트럼프 2기 높아진 무역장벽도 현대제철의 위기를 가중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부로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철강재의 미국 시장 가격이 25% 상승하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수출 경쟁력도 급격히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위기상황 속에서 노조 파업은 치명적 피해를 남기고 있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 상견례 이후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해를 넘어서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11일에는 노조의 총파업으로 현대제철 전국 사업장 조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노조는 최근까지 총파업과 부분·일시 파업 등 쟁의행위를 지속했다. 이에 회사 측이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일부 라인에 대해 부분 직장폐쇄까지 단행했으나아직도 협상 재개와 결렬을 반복하고 있다.
노조는 다시 파업에 나선다. 우선 14~15일 하루 4시간씩 파업에 나설 방침이다. 기존에는 충남 당진 내연공장 산세압연설비PL/TCM 등에 대해서만 부분 파업을 진행해 왔으나 이번에는 도금 라인 등 사실상 냉연 공장 전체로 파업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제철 사측은 1인당 평균 약 2650만원기본급 450%1000만원의 성과금 지급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800만원’ 수준의 성과금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1~22일까지 노사분규로 냉연 부문에서 약 27만톤t의 생산 손실이 발생했으며 손실액은 25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업 장기화와 직장폐쇄로 회사의 손실 규모는 더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제철 측은 “노사가 지난 13일 교섭을 재개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됐다”며 “향후 노사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산업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 관련기사 ◀
☞ 김수현 ‘깻잎쌈 사진 때문에…닥터프렌즈 “논란 몰랐다” 사과
☞ 줄줄이 일본 가더니…반전된 상황에 "차라리 중국"
☞ “1인분 안 판다, 미치겠네” 부대찌개 집서 봉변당한 日 유튜버
☞ 오늘부터 집중 단속…돈 안 내고 슬쩍 탔다간
☞ 인수땐 1조 성과급, 회생 가니 침묵…김병주 책임론 확산
현대제철004020은 14일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하면서 “지난 13일부로 전 임원의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도 검토 중”이라며 “최근 국내외 심각한 위기 상황에서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특단의 조치”라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이외에 해외 출장 최소화 등을 포함해 다방면으로 ‘극한의 원가 절감’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
이에 더해 중국·일본의 저가 철강재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자, 후판과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진행하는 등 불공정 무역에도 대응 중이다.
트럼프 2기 높아진 무역장벽도 현대제철의 위기를 가중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부로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철강재의 미국 시장 가격이 25% 상승하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수출 경쟁력도 급격히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위기상황 속에서 노조 파업은 치명적 피해를 남기고 있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 상견례 이후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해를 넘어서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11일에는 노조의 총파업으로 현대제철 전국 사업장 조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노조는 최근까지 총파업과 부분·일시 파업 등 쟁의행위를 지속했다. 이에 회사 측이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일부 라인에 대해 부분 직장폐쇄까지 단행했으나아직도 협상 재개와 결렬을 반복하고 있다.
노조는 다시 파업에 나선다. 우선 14~15일 하루 4시간씩 파업에 나설 방침이다. 기존에는 충남 당진 내연공장 산세압연설비PL/TCM 등에 대해서만 부분 파업을 진행해 왔으나 이번에는 도금 라인 등 사실상 냉연 공장 전체로 파업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제철 사측은 1인당 평균 약 2650만원기본급 450%1000만원의 성과금 지급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800만원’ 수준의 성과금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1~22일까지 노사분규로 냉연 부문에서 약 27만톤t의 생산 손실이 발생했으며 손실액은 254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업 장기화와 직장폐쇄로 회사의 손실 규모는 더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제철 측은 “노사가 지난 13일 교섭을 재개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됐다”며 “향후 노사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산업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 관련기사 ◀
☞ 김수현 ‘깻잎쌈 사진 때문에…닥터프렌즈 “논란 몰랐다” 사과
☞ 줄줄이 일본 가더니…반전된 상황에 "차라리 중국"
☞ “1인분 안 판다, 미치겠네” 부대찌개 집서 봉변당한 日 유튜버
☞ 오늘부터 집중 단속…돈 안 내고 슬쩍 탔다간
☞ 인수땐 1조 성과급, 회생 가니 침묵…김병주 책임론 확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