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뒷광고 의심 작년 2만2천건 적발…"숏폼서 크게 늘어"
페이지 정보

본문

[공정위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지난해 뒷광고기만광고로 보이는 주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물이 2만2천건 이상 적발된 것으로 집계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SNS 뒷광고 모니터링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공정위는 지난해 한국인터넷광고재단에 위탁해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카페·포스트,유튜브,틱톡 등 주요 SNS 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총 2만2천11건의 뒷광고 의심 게시물을 발견했다.
표시광고법은 SNS 후기글 게시자가 광고주 등으로부터 제품 제공과 같은 경제적 대가를 받았을 경우 그 사실을 명확히 표시하지 않는 뒷광고를 금지한다. 광고를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반인의 후기글로 위장하며 교란하는 행위기 때문이다.
이같은 광고는 공정위 지침에 담긴 위치·내용·방식대로 경제적 이해관계를 표시해야 뒷광고가 아니게 된다.
지난해 적발 건수는 매체별로는 인스타그램이 1만195건으로 가장 많았고 네이버 블로그9천423건, 유튜브1천409건 등이 뒤를 이었다.
유형별로 보면 광고라는 사실을 잘 보이지 않는 더보기란·설명란·댓글 등에 표시하는 경우가 1만553건39.4%으로 가장 많았다.
아예 표시하지 않은 경우는 7천95건26.5%이었으며, 작은 문자나 흐릿한 이미지로 표시하는 사례는 4천640건17.3%이었다.

[공정위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업종 분류별 비중은 보건·위생용품5천200건, 23.6%, 의류·섬유·신변용품4천774건, 21.7%, 식료품 및 기호품2천492건, 11.3% 순으로 많았다.
올해는 특히 1분 미만의 짧은 영상인 숏폼 콘텐츠에서 뒷광고가 크게 늘었다고 공정위는 분석했다. 인스타그램 릴스에서 1천736건, 유튜브 쇼츠에서 1천209건, 틱톡에서 736건이 각각 의심 사례로 적발됐다.
공정위는 "최근 주요 광고 수단으로 떠오른 숏폼 콘텐츠 점검을 강화한 데 따른 결과로, 영상 제작자와 광고주가 아직 경제적 이해관계의 공개 의무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해석했다.
적발된 2만2천11건에 대해 게시물 작성자·광고주에게 자진시정을 하도록 한 결과 총 2만6천33건이 시정됐다. 적발보다 시정 건수가 더 많은 이유는 통보를 받자 적발되지 않은 게시물까지 자체적으로 추가 시정했기 대문이다.
2021년부터 모니터링을 시작한 공정위는 올해에는 숏폼 콘텐츠, 제품 결제금액을 일부 캐시백하는 식으로 경제적 이득을 주는 인플루언서 카드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올해도 정확한 소비자 정보 제공과 합리적 구매 선택권 보장을 위해 뒷광고 점검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최근 지침 개정을 반영한 안내서도 제작해 하반기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vs2@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김수현 측, 김새론 모친에 "뵙고 싶다…공개 시시비비 부적절"
- ☞ [샷!] "알림장·일기장도 아동학대라고 학부모가 항의"
- ☞ "가라는 엄마, 말리는 선배"…의정갈등에 학교 밖 맴도는 의대생
- ☞ "인터넷, 한국 천국·북한 지옥" 베네수엘라 언론서 주목
- ☞ 살인예고 글 올려 신고된 유튜버, 헌재 주변서 계속 활동
- ☞ 폴란드 총리, 귀화 배우에 "007 연기하려면 군사훈련을"
- ☞ 성범죄 피해 듣고는 "합의하고 10% 달라" 종용한 파렴치 30대
- ☞ 인천공항 자회사 20대 직원, 공항 주차타워서 추락해 사망
- ☞ 서산 고물상서 굴착기 작업 중 집게에 찔린 60대 숨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제네시스, 3대 중 1대는 美서 판매…고수익 차종 강화 25.03.16
- 다음글전남 무안 한우농장서도 구제역…국내 발생 다섯건으로 늘어 25.03.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