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사도 억대 연봉?"…100대 대기업 절반 이상, 직원 평균 연봉 1억 넘...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에서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는 기업 수가 절반을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1억 원 클럽’ 가입 대기업 수가 고물가 여파로 5년 새 6배 넘게 증가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 100대 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은 기업은 총 55개사로 집계됐다.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은 직원들이 평균 1억 원이 넘는 보수를 받는 셈이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이 넘는 ‘1억원 클럽’에 가입한 매출 100대 기업은 2019년 9개사, 2020년 12개사, 2021년 23개사, 2022년 35개사, 2023년 48개사, 지난해 55개사로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현대글로비스1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1800만 원, 삼성전기1억300만 원, KTamp;G1억700만 원 등 7개사가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그 수가 6.1배 늘었다.
특히 매출 ‘톱10’ 기업은 모두 1억 원 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1억3000만 원의 직원 평균 연봉을 기록했고, 현대차 1억2400만 원, ㈜SK 1억1600만 원, 기아 1억3600만 원, LG전자 1억1700만 원이었다.
SK이노베이션1억5800만 원, 포스코홀딩스1억4800만 원, HD현대1억5900만 원, SK하이닉스1억1700만 원, 현대모비스1억3500만 원도 직원 연간 보수가 1억 원을 웃돌았다.
기업 형태별로는 지주회사의 직원 평균 연봉이 자회사보다 높았다. 지주회사는 자회사보다 임직원 수가 적고, 임원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정유·가스 등 에너지 기업이 매출 100대 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직원 연봉을 기록했다. 에쓰오일1억5천400만원, SK이노베이션1억5천800만원, E11억2천만원 등이 대표적이다.
곽선미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싱크홀 사고로 딸 급식이”…불만 드러낸 방송인, 뭇매에 사과
▶ 나경원, 野 ‘연쇄탄핵’ 경고에 “통진당보다 더 위험한 체제 전복 시도”
▶ [속보]트럼프 “푸틴에 매우 화났다…휴전 합의 안하면 러 원유에 25% 2차 관세”
▶ 청주 역주행 사고로 3명 숨지고 6명 부상...운전자, “급발진 사고” 주장
▶ 경북 산불 실화자 50대 남성, 경찰 입건에도 “혐의 부인”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 100대 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은 기업은 총 55개사로 집계됐다.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은 직원들이 평균 1억 원이 넘는 보수를 받는 셈이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이 넘는 ‘1억원 클럽’에 가입한 매출 100대 기업은 2019년 9개사, 2020년 12개사, 2021년 23개사, 2022년 35개사, 2023년 48개사, 지난해 55개사로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현대글로비스1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1800만 원, 삼성전기1억300만 원, KTamp;G1억700만 원 등 7개사가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그 수가 6.1배 늘었다.
특히 매출 ‘톱10’ 기업은 모두 1억 원 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1억3000만 원의 직원 평균 연봉을 기록했고, 현대차 1억2400만 원, ㈜SK 1억1600만 원, 기아 1억3600만 원, LG전자 1억1700만 원이었다.
SK이노베이션1억5800만 원, 포스코홀딩스1억4800만 원, HD현대1억5900만 원, SK하이닉스1억1700만 원, 현대모비스1억3500만 원도 직원 연간 보수가 1억 원을 웃돌았다.
기업 형태별로는 지주회사의 직원 평균 연봉이 자회사보다 높았다. 지주회사는 자회사보다 임직원 수가 적고, 임원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정유·가스 등 에너지 기업이 매출 100대 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직원 연봉을 기록했다. 에쓰오일1억5천400만원, SK이노베이션1억5천800만원, E11억2천만원 등이 대표적이다.
곽선미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싱크홀 사고로 딸 급식이”…불만 드러낸 방송인, 뭇매에 사과
▶ 나경원, 野 ‘연쇄탄핵’ 경고에 “통진당보다 더 위험한 체제 전복 시도”
▶ [속보]트럼프 “푸틴에 매우 화났다…휴전 합의 안하면 러 원유에 25% 2차 관세”
▶ 청주 역주행 사고로 3명 숨지고 6명 부상...운전자, “급발진 사고” 주장
▶ 경북 산불 실화자 50대 남성, 경찰 입건에도 “혐의 부인”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중견 건설사, 산불 피해 복구 위한 성금 기부 릴레이 25.03.31
- 다음글[특징주] 공매도 거래 첫날, 에코프로비엠 10만원 아래로 25.03.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