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엔 한국 전역이 평균 가구원 2명 미만…고령가구 2배 증가
페이지 정보
본문
고령 가구는 30년 뒤 1178만 명…2배 증가
2052년,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 비중 으뜸
평균 가구원 수가 2명도 안 되는 사회가 30년 뒤 도래하게 된다. 고령자 가구 비중도 50%를 초과할 전망이다. 늙고 고독한 사회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통계청은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을 발표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총가구 수는 2,166만4,000가구로 2041년 2,437만2,000가구까지 증가했다가 2052년에는 2,327만7,000가구까지 줄어든다.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전북, 경남 등 7곳의 가구 수는 2022년 대비 2052년에는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반해 경기, 충남, 인천, 세종, 충북, 강원, 제주, 대전, 전남, 경북 등 10곳에선 가구 수가 증가한다. 특히 경기는 수도권 집중과 탈서울 행렬이 맞물리면서 2022년 536만8,000가구에서 같은 기간 653만5,000가구까지 증가한다.
혼자 사는 가구 증가와 인구 감소로 평균 가구원 수는 줄어든다. 전국 평균 가구원 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세종과 경기는 2022년 2.41명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지만, 2052년에는 세종 1.93명, 경기 1.92명까지 2명 밑으로 떨어진다. 경북은 2022년 2.11명으로 가장 낮았는데, 30년 뒤에는 1.65명으로 줄어든다.
2022년 기준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이 제일 큰 도시는 대전, 서울 등 14개 시도였지만, 2052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제일 많게 된다. 특히 강원, 충북 등 12개 시도에서는 1인가구 비중이 40%를 넘을 전망이다. 2052년의 가구 유형을 보면 △1인가구41.3% △부부22.8% △유자녀 부부17.4% △자녀 동거 단독부모7.6% △비친족가구3.5% 순이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30년 뒤에는 1,178만8,000가구로 2.3배 증가한다. 고령자 가구 비중도 24.1%에서 50.6%로 급증한다. 2022년 고령자 가구 비중은 전남34.4%, 경북31.5%, 전북30.9% 순으로 높고, 세종13.3%, 경기19.6%, 대전20.5% 순으로 낮았지만, 2052년에는 경북60.2%, 전남60.1%, 경남59.3% 순으로 높고, 가장 낮은 세종마저도 35.8%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30년 뒤면 모든 시도에서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비중도 감소한다. 2022년 가구주의 혼인 상태는 유배우58.5%, 미혼21.8%, 사별10.0%, 이혼9.7% 순이지만, 30년 뒤에는 유배우43.4%, 미혼32.1%, 이혼13.9%, 사별10.6% 순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세종= 이성원 기자 support@hankookilbo.com
관련기사
- 내란·김건희 특검 국회 통과 법무장관·경찰청장 탄핵안 가결
- 야당은 간첩, 저를 중범죄자로 몰아가 尹의 궤변
- 조국, 입시 비리 징역 2년 확정 의원직 상실, 차기 대선 출마 못해
- 尹 퇴진 거부하니 원칙대로 한동훈, 탄핵 찬성 굳혀
- “尹, 고3보다 삼권분립 몰라” 부산 여고생 연설 영상 화제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중소기업 내년 RD예산 부족, 900개 기업 타격···기술개발 ... 24.12.12
- 다음글구멍난 세수…올 나랏빚 1200조원 넘나 24.12.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