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진흥원 기금운용본부장, 1060억 투자 대가로 뒷돈 받았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전파진흥원 기금운용본부장, 1060억 투자 대가로 뒷돈 받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5회 작성일 23-08-24 10:58

본문

뉴스 기사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 /뉴스1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 /뉴스1

지난 2019년 고객 투자금 1조6000억원을 돌려주지 못하고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라임 펀드가 다선 국회의원 등 정치권과 관련된 유력 인사나 업체들에는 투자금을 미리 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24일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 등 자산운용사 3곳에 대한 추가 검사 결과,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특혜성 환매를 비롯해 수천억 원대 투자금 횡령 등을 새로 적발해 검찰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은 환매 중단을 선언2019년 10월하기 직전인 8~9월 A 중앙회에 200억원, B 상장 기업에 50억원, 다선多選 국회의원에게 2억원 등 일부 투자자에게만 특혜성 환매를 해준 혐의를 받고 있다. 환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라임은 다른 펀드 자금 125억원 등 다른 고객들의 투자금을 동원했다. 본지 취재 결과, 해당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모 의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상장 기업은 문재인 정부 실세 정치인과 관련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라임 펀드가 2017~2021년 대규모 자금을 투자한 회사 5곳에서 2000억원가량의 횡령이 일어난 사실도 추가로 적발했다.

옵티머스에 대한 추가 검사에서는 현재 구속 수감된 김재현 전 옵티머스 대표가 C 시행사에 투자해 대규모 물류 단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관공서 인허가를 쉽게 따내려고 옵티머스 사건의 핵심 브로커로 지목된 정모씨의 C사 지분 50%를 취득하는 데 들어간 자금 43억3000만원을 대납한 정황을 새롭게 확보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씨가 받은 돈이 로비 자금으로 정·관계에 흘러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9~2020년 발생한 라임·옵티머스 사건은 두 자산운용사가 펀드 돌려막기 등의 불법 거래와 서류 위조를 통한 허위 투자 등을 일삼다가 투자자들에게 제때 돈을 돌려주지 못하면서 알려졌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피해 규모는 각각 1조6000억원, 5000억원 등 총 2조1000억원에 달한다. 정치권 인사들의 연루 의혹이 제기됐으나 검찰 수사 과정에서 경영진 일부만 구속되고, 연루자들은 대부분 무혐의 처분을 받거나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부실 수사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검찰과 금감원은 라임·옵티머스 사건을 재검토하기로 결정했고, 금감원은 지난 1월 TF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추가 검사에 착수했다.

이 밖에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해서는 주력 판매처였던 기업은행 등의 불완전 판매와 관련한 추가 혐의점 등이 확인됐다. 이 펀드는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인 장하원 대표가 운용했고, 2500억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기업은행 등 디스커버리 판매 금융사에 대한 검사, 민원인 조사 등 추가 확인을 통해 분쟁 조정을 적극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김지섭 기자 oasis@chosun.com 안중현 기자 jhahn@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40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1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