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민감국가에 韓 추가…동맹관계·신뢰 타격 우려
페이지 정보

본문
- 러시아, 중국, 북한 등 포함한 민감국가에 추가
- 4월15일 발표 예상…과학기술 동맹 등 차질 우려
- 두 달 가까이 파악 못한 정부 책임론 논란도
- 4월15일 발표 예상…과학기술 동맹 등 차질 우려
- 두 달 가까이 파악 못한 정부 책임론 논란도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미국이 러시아와 중국, 북한 등이 포함된 ‘민감국가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추가한 것으로 확인돼 정치·외교적인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온 한국과 미국의 동맹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이와 함께 두 달 가까이 관련 현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부를 향한 논란도 예상된다.
15일 미국 에너지부DOE 등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초 한국을 민감국가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에 추가했다. 바이든 정부 임기 말기에 한국을 추가한 것으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민감국가는 국가 안보와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등 정책적 이유로 특별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는 나라로 분류된다. 러시아와 중국, 북한 등이 포함돼 있으며 에너지부 산하 기구인 정보방첩국에서 관리한다. 민감 국가에 지정되면 해당 국가 출신 연구자들이 에너지부 관련 시설에서 근무하거나 연구에 참여하기 위해 더 엄격한 인증을 거쳐야 한다.
일각에서는 한국 내 핵무장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 2023년 1월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전술핵을 배치하든 자체 핵을 보유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발언으로 당시 국내에서는 핵무장에 찬성하는 여론이 목소리를 키웠고, 미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민감국가 발효는 오는 4월15일로 예상된다. 최하위 범주에 속했다고는 하지만 인공지능AI이나 양자와 같은 과학기술 협력에 차질을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미국 에너지부는 “한국과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제한은 없다”며 “목록에 포함됐다고 해서 반드시 미국과 적대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최하위 범주라 상대적으로 제한이 엄격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두 달 가까이 민감국가 지정에 대한 움직임 등을 파악하지 못한 정부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질 전망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1일 민감국가 분류에 대해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그런 일이 없도록 살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한 바 있다.
▶ 관련기사 ◀
☞ 美증시 대폭락 시작인가, 조정인가…담아야 할 ETF는[왓츠 유어 ETF]
☞ “고기 굽기도 과학이다”…AI가 구우면 안 타는 이유[AI침투보고서]
☞ 박보검·아이유의 추억 속 로맨스…향수 불러온 이 차는[누구차]
☞ “폭싹 올랐수다”…아이유·박보검 효과에 신바람[증시핫피플]
☞ 故 김새론 母 입장→일기장 언급, 김수현 미성년 교제 NO 주장 뒤집나 종합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온 한국과 미국의 동맹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이와 함께 두 달 가까이 관련 현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부를 향한 논란도 예상된다.
|
민감국가는 국가 안보와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등 정책적 이유로 특별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는 나라로 분류된다. 러시아와 중국, 북한 등이 포함돼 있으며 에너지부 산하 기구인 정보방첩국에서 관리한다. 민감 국가에 지정되면 해당 국가 출신 연구자들이 에너지부 관련 시설에서 근무하거나 연구에 참여하기 위해 더 엄격한 인증을 거쳐야 한다.
일각에서는 한국 내 핵무장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 2023년 1월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전술핵을 배치하든 자체 핵을 보유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발언으로 당시 국내에서는 핵무장에 찬성하는 여론이 목소리를 키웠고, 미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민감국가 발효는 오는 4월15일로 예상된다. 최하위 범주에 속했다고는 하지만 인공지능AI이나 양자와 같은 과학기술 협력에 차질을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미국 에너지부는 “한국과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제한은 없다”며 “목록에 포함됐다고 해서 반드시 미국과 적대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최하위 범주라 상대적으로 제한이 엄격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두 달 가까이 민감국가 지정에 대한 움직임 등을 파악하지 못한 정부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질 전망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1일 민감국가 분류에 대해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그런 일이 없도록 살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한 바 있다.
▶ 관련기사 ◀
☞ 美증시 대폭락 시작인가, 조정인가…담아야 할 ETF는[왓츠 유어 ETF]
☞ “고기 굽기도 과학이다”…AI가 구우면 안 타는 이유[AI침투보고서]
☞ 박보검·아이유의 추억 속 로맨스…향수 불러온 이 차는[누구차]
☞ “폭싹 올랐수다”…아이유·박보검 효과에 신바람[증시핫피플]
☞ 故 김새론 母 입장→일기장 언급, 김수현 미성년 교제 NO 주장 뒤집나 종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수원 원천동 광교 중흥S-클래스 아파트 98㎡ 17억3000만원에 거래 25.03.15
- 다음글"더 비싸져도 갈래요" 1월에만 벌써 100만명 인기 식지 않는 日여행 25.03.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