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는 보톡스·세포 재생"…화장품 허위·과대광고 144건 적발
페이지 정보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세포재생 항염 근육 이완 등을 표방하며 온라인에서 유통·판매되는 화장품 판매 게시물 200건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을 위반해 허위·과대광고한 144건을 적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화장품의 표시·광고 위반 유형 및 광고 문구 사례.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적발된 광고들은 ▲의약품 효능·효과를 표방해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83건57.6%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39건15.3% ▲기능성화장품으로 오인 또는 기능성화장품 심사 내용과 다른 광고 22건15.3% 등이다.
이들 제품은 세포재생 지방세포증식 항염 근육 이완 등 의학적으로 검증된 바 없는 효능·효과를 표방하거나 줄기세포 바르는 보톡스 필러 시술 효과 등 사실과 다르게 잘못 인식하거나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 이중 턱 리프팅 개선 등 기능성화장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할 때 보톡스, 필러 등 의료시술 관련 표현을 사용한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업체가 화장품 표시·광고의 주의사항과 금지표현을 안내하는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 지침을 참고해 표시·광고를 적정하게 하도록 당부했다. 보톡스 필러 지방볼륨 생성 근육 이완 등은 화장품 표시·광고 금지표현에 해당한다.
식약처는 적발한 허위·과대광고 144건 중 화장품 책임판매업자가 광고한 판매게시물 38건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요청해 해당 사이트를 차단 조치하고, 관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을 통해 현장 점검 및 행정 처분할 예정이다. 또 이 중 25건은 일반판매업체가 화장품법을 위반해 광고한 사례를 추적 조사해 책임판매업자의 광고 위반을 적발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판매업체의 불법 광고 행위에 대해 책임판매업자의 광고까지 추적·조치함으로써 불법 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장품 허위·과대 광고의 근원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관련기사]
☞ 뇌졸중 앓을 가능성…혈액형 A형과 O형 엄청난 차이
☞ "밤 장사 망쳤다"…무인카페서 불 끄고 영화 본 커플에 업주 통탄
☞ "내 아들 결혼식이지만 가는게 맞나"…尹 탄핵심판에 재판관 고민
☞ "2000만원 빌려줬는데" 길거리 생방송 여성 살해범 말에 경악
☞ "성관계 횟수 적으면 수명 짧아져" 연구결과에 화들짝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다들 한다는 AI, 실패 사례로 배우는 AI 기술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전국 아파트값 1년 새 3.65% 올라…"시세 반영률 69%"[2025 공시가격] 25.03.13
- 다음글美 관세 대응 철강업계 간담회 행사중 심각한 표정의 안덕근 산업통상자... 25.03.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