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할 일 없다더니"…홈플러스 투자자들 분통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망할 일 없다더니"…홈플러스 투자자들 분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13 06:54 조회 12 댓글 0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앵커gt;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와 관련된 증권 상품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돈을 돌려달라며 시위에 나섰습니다. 이걸 판매한 증권사와 홈플러스는 서로에게 책임을 미루고만 있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lt;기자gt;

[반환하라! 반환하라! 반환하라!]


금융감독원 앞에 홈플러스 관련 유동화 상품에 투자한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향후 법원 결정에 따라 투자금을 다 못 건질 수도 있어 거리로 나선 겁니다.

[홈플러스 관련 유동화 증권 투자자 : 이 돈을 반드시 돌려줘야 한다는 것이 우리 피해자들의 입장이고요.]

홈플러스가 신용카드로 물품을 구입하면 카드회사가 채권을 갖게 되는데, 이들은 이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단기 채권에 투자했습니다.

A3에 그쳤던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때문에 연 6% 수준의 고이율을 보장했고, 최소 투자금액이 1억 원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수억 원씩 투자한 이들은 위험한 줄 몰랐다 증권사가 안전하다고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동화 단기사채 투자자 가족 : 증권사 직원이 보내온 문자 메시지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습니다. 채권의 경우 상황이 더 좋습니다.]

[유동화 단기사채 투자자 : 홈플러스가 3개월 안에 망하겠느냐, 홈플러스는 안전하다 이런 얘기 듣고 한 거죠.]

약 3천500억 원 규모의 이런 유동화 증권은 금융채권으로 분류돼 회생 절차에서 상거래채권보다 변제 순위가 밀립니다.

결국 홈플러스가 물품을 구입하는데 자금을 댄 셈이니, 유동화 증권이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게 개인투자자들의 주장이지만, 법원이 받아들일지는 미지수입니다.

[김필규/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유동화 증권 등 신용 위험이 큰 상품들은 전문투자자의 영역이거든요. 이게 이제 상품이 재가공된 경우라고 볼 수 있고, 좀 복잡한 법률적인 판단을 받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고 봅니다.]

홈플러스는 유동화증권 상환은 향후 절차에 따라 하겠지만, 판매 책임은 상품을 만들고 판 신영증권 등에 있다는 입장입니다.

신영증권 등은 신용 강등 가능성을 알리지 않은 홈플러스를 고발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디자인 : 강윤정, VJ : 김 건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인/기/기/사

◆ "아직 시간 남았다"는데…"석방하면 끝" 검찰 입장, 왜

◆ "망하겠느냐" 믿다 날벼락…1억부터 투자 "내 돈 돌려놔"

◆ 초등생 살해 며칠전 생각 바꿨다…명재완은 사이코패스?

◆ "정체될 곳 아닌데…갓길 보니" 터널 근처 안타까운 죽음

◆ "더러워 죽겠네, XX들"…대학가 공포로 몬 뜬금 유튜버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