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 받은 재산별로 매긴다…정부, 75년만의 상속세 대수술 추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각자 받은 재산별로 매긴다…정부, 75년만의 상속세 대수술 추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3-12 11:30

본문

유산세→유산취득세 개편안 공개…연내 입법 전제, 2028년 시행
인적공제 전면 손질…일괄공제 없애고 자녀공제·배우자공제 대폭 확대
現 10억원 상속세 면세점, 사실상 최소 20억으로 높아질 듯

각자 받은 재산별로 매긴다…정부, 75년만의 상속세 대수술 추진재산상속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정부가 현행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면적인 상속세 개편 방안을 내놨다.

지금처럼 물려주는 총재산을 기준으로 세액을 산출하지 않고, 개별 상속인들이 각각 물려받은 재산에 과세하는 방식이다. 증여세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자는 것이다.

N분의1로 과세표준과표 구간이 낮아지는 것이어서 누진세율 체계에서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상속세 법체계를 뒤바꾸는 전면 재정비 작업이다.

1950년 상속세법 도입 이후 75년간 유지한 유산세 시스템을 바꾸는 대격변으로, 상속인별로 서로 다른 세액을 산출해야 하다 보니 과세 행정도 그만큼 복잡해진다.

올해 중으로 국회에서 법 개정이 이뤄진다면, 약 2년간 과세시스템 정비를 거쳐 2028년부터 시행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GYH2025031200060004400_P2.jpg

기획재정부는 12일 유산취득세 도입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2022년 7월 세제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유산취득세 도입 방침을 공식화한 지 2년8개월만이다.

원칙적으로 상속세 과세체계를 합리화하는 조치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유산세 체계에서는 실제로 상속받은 재산보다 더 높은 누진세율을 적용받기 때문에 과세의 기본 원칙인 응능부담납세자의 담세 능력에 따른 과세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유산취득세로 전환해 상속인들이 각각 물려받은 만큼 세율을 적용받게 하겠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서 상속세를 매기는 24개국 가운데 우리나라처럼 유산세 방식인 나라는 미국, 영국, 덴마크 등 4개국에 불과하다.

정정훈 세제실장은 "그동안 우리나라 세제가 여러 선진화된 제도들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남아 있는 몇 개 안 되는 숙제 중 하나였다"며 "글로벌 스탠더드에 가까운 제도 중 하나로서 이쪽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과 요구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달 중으로 관련 법률안을 입법예고하고, 4월 공청회를 거쳐 5월 국회에 법안을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중으로 국회 입법이 이뤄진다면 2026~2027년 과세 집행시스템을 구축하고 2028년부터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PYH2025031111720001300_P2.jpg유산취득세 도입 방안 브리핑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기획재정부 정정훈 세제실장왼쪽 세 번째이 지난 11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기자실에서 유산취득세 도입 방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완수 상속세개편팀장, 김건영 조세개혁추진단장, 정 실장, 김병철 재산소비세정책관. 2025.3.12 scoop@yna.co.kr

인적공제 제도도 개별 상속인별 기준으로 전면개편이 불가피하다.

현재는 전체 상속액에 일괄공제5억원 및 배우자공제최소 5억원, 법정상속분 이내 최대 30억원가 일률 적용된다. 즉, 재산 10억원까지 상속세가 없다.

이같은 일괄공제를 폐지하는 대신에 현재 1인당 5천만원으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자녀공제를 5억원으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직계존비속에는 5억원, 형제 등 기타 상속인에는 2억원을 적용한다.

정 실장은 "인구구조 측면에서도 시급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이라며 "다자녀가구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배우자공제는 민법상 법정상속분 한도에서 실제 상속분만큼 공제받도록 했다. 여야가 논의하고 있는 배우자 상속세 폐지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대 공제한도 30억원법정상속분 이내을 유지하되, 10억원까지는 법정상속분을 넘어서더라도 공제가 가능하게 했다. 법정상속분과 무관하게 10억원까지는 배우자 상속세가 아예 없도록 인센티브를 추가한 것이다.

이와 별도로 인적공제 최저한을 새로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현행 면세점10억원을 고려해 최소 10억원의 인적공제를 보장해주는 개념이다. 상속인별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인적공제 합계가 10억원에 미달한다면, 그 부족분만큼 추가로 공제해주는 방식이다.

현재 70~80대 고령층의 자녀들이 대체로 최소 2명인 현실을 고려하면, 자녀 2명 공제10억원와 배우자공제10억원까지 최소 20억원의 상속액은 면세될 것으로 보인다.

PYH2025031111700001300_P2.jpg유산취득세 도입 방안 브리핑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기획재정부 정정훈 세제실장왼쪽 세 번째이 지난 11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기자실에서 유산취득세 도입 방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완수 상속세개편팀장, 김건영 조세개혁추진단장, 정 실장, 김병철 재산소비세정책관. 2025.3.12 scoop@yna.co.kr

세액은 상속인별로 산출되지만, 과세 관할은 현행처럼 피상속인고인 주소지 기준으로 결정된다. 과세 관할이 여러 세무서에 분산되면서 생기는 혼란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현행처럼 상속개시사망부터 6개일 이내 상속 신고해야 한다. 신고기간 이후 9개월 이내 상속재산을 분할하면 된다.

jun@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김하늘 양 살해 초등교사 48세 명재완…30일간 신상정보 공개
檢, 여성 2명 성폭행 시도한 20대에 항소심도 무기징역 구형
시카고발 뉴델리행 에어인디아 여객기, 기내 변기 막혀 회항
영월서 연쇄 교통사고…수습 도우려던 60대 등 2명 숨져
故 박원순 아들 박주신씨, 고려대 조교수 임용
노래방서 여성 살해한 종업원…차량에 시신 싣고 이틀 배회
처음 본 사람과 싸우다 심근경색 사망…대법 "폭행치사 아냐"
"축구 전설 마라도나는 살해된 것"…아르헨티나서 재판 시작
길거리서 모르는 행인 돌로 폭행한 만취 50대 현행범 체포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93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48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