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13.6만명 증가…쉬었음 청년 50만명 역대 최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12 09:16 조회 12 댓글 0본문

지난해 12월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취업상담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5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17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만6000명0.5% 증가했다.
취업자는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000명 감소했다가 지난 1월 13만5000명 증가하면서 두 달 연속 늘었다.
제조업에서는 취업자가 7만4000명 줄면서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째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 또한 건설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16만7000명 감소했다. 10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8만명, 정보통신업6만5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는 15~29세-23만5000명, 40대-7만8000명, 50대-8000명에서는 줄었다. 반면 30대11만6000명와 60세 이상34만2000명에서는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만3000명, 임시 근로자는 3만6000명 증가했지만 일용 근로자는 9만2000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만6000명 감소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3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0월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종각역 태양의 정원에서 열린 2024 종로구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2월 실업자 수는 94만명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2만5000명2.7% 증가했다. 실업률은 3.2%로 전년 동월과 동일했다.
15~29세 실업률은 7.0%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청년 실업률이 7%를 넘어선 건 2023년 3월7.1% 이후 처음이다.
비경제활동 인구 중 ‘쉬었음’은 269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만3000명4.8%이나 급증했다.
이 중 15~29세 쉬었음 인구는 50만4000명으로 13.8%나 늘었다.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8월 청년층 부가 조사 당시 20대 쉬었음의 주된 이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였다”며 “다음 일을 위해서 쉬고 있다는 이유 등도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도소매업 등의 분야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기업의 경력직 선호 경향, 수시채용 증가 등도 청년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20억 없어? 가지마라" 국제학교 말리는 이유
▶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 아내 손발 묶고 30㎝ 성인용 도구로…잔혹남편 충격
▶ 노래방서 붙어있던 중년男女…자세히 보니 경악
▶ "한국女에 성폭력 무고"…120만 유튜브 삭제, 뭔일
▶ 알몸으로 한강 뛰어든 여대생…"아방가르드!" 왜
▶ 라방 20대女 일본서 피살…피흘리는 얼굴 비췄다
▶ "홈플러스 믿었는데" 정산금 못받은 점주들 날벼락
▶ "성폭행 당하고도 모른다…역사상 최악 성범죄" 충격
▶ 강호동 매니저 출신 걸그룹 아빠, SM Camp;C 대표 됐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문규 chomg@joongang.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