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첨단반도체 생산 비중, 2030년 세계 20%이상 차지 전망"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美 첨단반도체 생산 비중, 2030년 세계 20%이상 차지 전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03-08 15:05

본문

quot;美 첨단반도체 생산 비중, 2030년 세계 20%이상 차지 전망quot;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출처=연합]

미국이 한국의 삼성전자·SK하이닉스, 대만의 TSMC 등의 투자를 유치하며 첨단 반도체 생산에서 오는 2030년 2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8일 보도했다. 이는 2021년 기준 대비 두 배 수준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 통계 및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발표 자료를 종합한 결과, 2020년 이후 미국의 반도체 민간 투자액이 80조 엔약 78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비중은 1990년 37%에서 2022년 10%까지 감소한 바 있다. 하지만대만과 한국 등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올해부터는 하락세가 멈추고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비중은 2030년 22%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대만은 71%에서 58%로, 한국은 12%에서 7%로 감소할 전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은 경제안보 차원에서 로직 반도체의 자국 내 생산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데이터센터, 통신, 군사용 제품에 필수적인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 체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연산 및 판단을 담당하는 로직 반도체로 나뉜다.

한편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5조 90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미국 내 3개의 첨단 로직 반도체 공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 미국은 엔비디아 등의 기업을 중심으로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생산은 여전히 대만과 한국 등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Copyright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45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54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