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첨단반도체 생산 비중, 2030년 세계 20%이상 차지 전망"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이 한국의 삼성전자·SK하이닉스, 대만의 TSMC 등의 투자를 유치하며 첨단 반도체 생산에서 오는 2030년 2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8일 보도했다. 이는 2021년 기준 대비 두 배 수준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 통계 및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발표 자료를 종합한 결과, 2020년 이후 미국의 반도체 민간 투자액이 80조 엔약 78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비중은 1990년 37%에서 2022년 10%까지 감소한 바 있다. 하지만대만과 한국 등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올해부터는 하락세가 멈추고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비중은 2030년 22%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대만은 71%에서 58%로, 한국은 12%에서 7%로 감소할 전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은 경제안보 차원에서 로직 반도체의 자국 내 생산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데이터센터, 통신, 군사용 제품에 필수적인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 체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연산 및 판단을 담당하는 로직 반도체로 나뉜다.
한편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5조 90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미국 내 3개의 첨단 로직 반도체 공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 미국은 엔비디아 등의 기업을 중심으로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생산은 여전히 대만과 한국 등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Copyright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관련링크
- 이전글"해외여행 갈 때 보조배터리 감쌀 비닐팩 꼭 챙기세요" 25.03.08
- 다음글[패션·뷰티 HOT신상] 가볍게 걸어볼까…봄맞이 운동화 봇물 25.03.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