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은 못 버틴다"…다시 고개드는 배달앱 이중가격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더 이상은 못 버틴다"…다시 고개드는 배달앱 이중가격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3-12 06:43

본문

quot;더 이상은 못 버틴다quot;…다시 고개드는 배달앱 이중가격제

ⓒ News1 DB

서울=뉴스1 배지윤 기자 =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매장 내 가격과 배달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이 다시 고개 들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외식업 위축과 배달 수수료 부담 등이 가맹점주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면서 가격 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프랜차이즈 업장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본사가 이를 추진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기 불황으로 인해 가맹점주들의 요청에 따라 시행되는 사례도 있다.

실제 맘스터치는 최근 일부 가맹점의 요청을 반영해 48개 매장에서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본아이에프가 운영하는 본죽과 본죽amp;비빔밥도 지난달 배달앱 내 판매 가격을 조정했다. 지난해 롯데리아·맥도날드·KFC·파파이스·배스킨라빈스 등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이중가격제가 다시 확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 때문이다. 배달앱을 통한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 자체는 늘었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가맹점의 마진이 줄어드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배달의민족의 경우 매출 상위 35%에 해당하는 업장은 최대 7.8%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본아이에프 웹사이트 갈무리

실제 외식업자들도 원재료나 인건비보다 배달비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사업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배달비 수수료를 꼽았다.

경기도 용인시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 중인 A 씨는 "원재료나 인건비 부담도 있지만 배달비 부담이 더 큰데 요즘은 경기 불황까지 겹쳐서 더 힘들다"며 "가격을 올리거나 배달비를 따로 반영하지 않으면 남는 게 거의 없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업계에서는 부담이 계속 커지면서 프랜차이즈와 외식업계 전반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확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본사는 가맹점의 가격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중가격제 도입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이 협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지만, 본사가 가맹점에 동일한 가격 정책을 유지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다"며 "가맹점주의 배달비 부담이 커질수록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jiyounba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57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45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