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실업자↑·구직급여 편법수급에 예산 펑크…고용보험료 8734억 더 ...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구직급여 12조원 육박
예상보다 9000억가량 늘어
실업자 증가·구직급여 편법 수령 탓
“국회서 반복수급 지적하면서 논의는 밀려”
예상보다 9000억가량 늘어
실업자 증가·구직급여 편법 수령 탓
“국회서 반복수급 지적하면서 논의는 밀려”
![[단독] 실업자↑·구직급여 편법수급에 예산 펑크…고용보험료 8734억 더 줬다](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kx/2025/03/13/2020072015535362710_1595228033_0027858980.jpg)
정부가 지난해 동이 난 고용보험기금 구직급여 예산을 메우기 위해 당초보다 9000억원 가까운 돈을 추가로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 악화로 실업자가 대폭 늘어나며 당초 전망한 예산 규모를 웃돈 것이 주 원인이다. 여기에 ‘부정수급’으로 의심되는 이들이 껴들면서 예산이 더 빨리 소진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금을 끌어다 쓸 수록 직업훈련에 쓸 돈 등이 줄어드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지난해 고용보험기금의 기금운용계획을 변경해 8734억원을 충당했다. 이는 구직활동을 하는 이들에게 지급하는 구직급여 예산이 예상보다 빨리 고갈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 당초 정부는 지난해 구직급여 예산으로 10조9144억원을 편성했었다. 여기에 기금을 더 끌어다쓰면서 실제 지출 규모는 11조7878억원까지 불어났다.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정부는 2023년에도 고용보험기금을 끌어다 썼다. 2년 연속 기금을 당겨 써야 할 정도로 대규모 지출이 발생했다. 다만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2023년의 경우 약 1600억원 정도를 가져 왔다. 1년 사이 당겨 쓴 돈 규모가 5배 이상 커졌다.
주 원인으로는 고용시장 부진이 꼽힌다. 정부는 지난해 건설업 부진 등의 상황으로 실업자가 많이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일종의 부정수급도 원인 중 하나로 평가한다. 5년간 3회 이상 구직급여를 받은 ‘반복수급자’ 중 부정수급에 준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하한선인 180일을 채운 뒤 퇴직해 구직급여를 받는 일을 반복하는 행태를 대표 사례로 꼽는다. 실제 반복 수급자 수는 최근 5년간 계속 늘고 있다. 2020년 9만3000명이던 반복수급자 수는 지난해 11만 3000명까지 늘었다.
고용보험기금을 끌어다 쓰면서 부수적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당초 고용보험기금으로 써야 할 사업들의 예산이 반대급부로 줄어드는 탓이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보험기금 건전성이 악화해 직업 훈련 등 다른 사업에 쓸 수 있는 기금 여력이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반복수급자 중 옥석을 가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언제 실행될 지는 미지수다. 정치권 반응이 미온적인 탓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관련 비판을 제기하면서도 개선 방안 마련을 논의를 하려 하면 ‘나중에 논의하자’며 결국 뒤로 밀려난다”고 전했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서예지, ‘김수현 양다리설’ 입열어…“난 그와 관계없다”
- [속보] 카카오 김범수, CA협의체 의장 사임
- 소 63마리 집단 폐사 미스터리 풀렸다…“굶어 죽은 것”
- “미성년 교제라니” 김수현 광고들 사라져…‘손절’ 분위기
- 저무는 엔저 시대, 원·엔 환율 1000원 눈앞
- 청약 당첨도 부담… 분양가 평당 3000만 첫 돌파
- 카드사들 ‘홈플러스 상품권’ 결제 막았다…“소비자 보호”
- 버스 내려 도로 뛰어든 아이…따라간 남성의 정체 [아살세]
- 휘성 숨진 현장서 주사기 발견…오늘 국과수 부검
- 교통사고 수습 도우려다 참변…영월 연쇄추돌 4명 사상
- 서학개미와 결별해야 하나… 국내 ETF ‘1위의 추락’
- 홈플 전단채 4000억 변제중단… 개인 투자자 첫 집단행동 예고
- 고의 사고로 1억대 보험금 챙긴 일당 적발[영상]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상법개정안 국회 통과에 "정부 거부권 행사해야" 입 모은 재계 25.03.13
- 다음글10여 개 브랜드 담당자들 골머리…김수현 의혹에 비상 25.03.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