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물건 채우는데도 휑···홈플러스에 물린 사람들 "정상화한다니 ...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르포]물건 채우는데도 휑···홈플러스에 물린 사람들 "정상화한다니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03-11 16:46

본문

빈 진열대 채우느라 분주 “여기 있는 게 전부”
‘지금은 상품 준비 중’ 안내문도
임시점포 점주 “정상화 위해선 점주들부터 살려야”


지난 10일 서울시내의 한 홈플러스 매장 식품층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매장 곳곳에는 미처 정리하지 못한 제품 상자와 처리하지 못한 빈 상자 더미들이 놓여 있었다. 이성희 기자

지난 10일 서울시내의 한 홈플러스 매장 식품층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매장 곳곳에는 미처 정리하지 못한 제품 상자와 처리하지 못한 빈 상자 더미들이 놓여 있었다. 이성희 기자

“착한 홈플러스를 찾아주신 고객님들께 감사드리며….”

영업시간을 알리는 안내방송은 활기찼지만, 매장에선 활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지난 10일 찾은 서울시내의 홈플러스 A매장. 지하 1층 식품층 직원들은 비어있던 진열대에 각종 상품을 채워넣느라 바빴다.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에 제품 공급을 중단했던 식품업체들이 이날 잇따라 납품을 재개하면서 분주한 모습이었다.


매장 곳곳에는 한창 정리 중인 상품 더미와 미처 치우지 못한 빈 상자더미들도 어수선하게 놓여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비어있는 진열대가 있었으며, ‘매진’이라고 쓰여있는 가격표와 ‘지금은 상품 준비중’과 같은 안내문도 눈에 띄었다.

평소 같으면 뒤쪽 진열대까지 가득 채워져 있을 제품도 앞쪽 두세 줄에만 듬성듬성 놓여 있었다. 분위기도 무거웠다. 한 고객이 품절된 동서식품 옥수수차를 찾으며 “언제 들어오느냐”고 묻자, 직원은 “잘 모르겠다. 여기 있는 물건이 전부다. 지금 물류 문제로 업체별로 안 들어오는 제품들이 많다”고만 했다.

의류와 잡화·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지상 1층은 식품층보다 한산했다. 입점점포와 임시점포비입점 이벤트업체가 모여있는데, 점주들은 대부분 근심어린 표정으로 통화를 하거나 휴대전화를 들여다보고 있었다.

‘홈플런’ 세일 끝나고 바로 ‘앵콜 홈플런’

“티메프도 미정산 직전 대규모 세일”
홈플러스 정문 입구에서 잡화류를 판매 중인 한 임시점포 대표 남모씨53는 자신들을 ‘홈플러스에 물린 사람들’이라고 표현했다. 비입점업체는 매장 한켠에 공간을 얻어 1~2주가량 한시적으로 영업을 하는데 전국 홈플러스를 돌아다닌다.

홈플러스는 이날 소상공인에게 피해가 없도록 상거래 채권을 우선 지급하겠다고 밝혔지만, 대금 규모와 지급 일정 등이 계속 바뀌고 있다. 남씨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11일 ‘2월12일부터 28일까지의 매출대금을 3월14일 이내에 지급 예정’이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가 ‘금일 중 다시 안내하겠다’고 번복했다. 그러더니 ‘1월 매출 대금은 3월12일 지급 예정’이라고 다시 안내했다.

남씨는 “당장 물건을 빼겠다는 임시점포들이 나오는 등 동요가 심해 계획이 계속 바뀌는 것 같다. 실제로 지급이 될지는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물건을 팔아서 홈플러스 포스기에 찍을 때마다 고민”이라며 “이것을 찍어야 하나 말아야 되나, 망설여진다. 물건을 팔수록 돈이 계속 물리는 구조니까”라고 말했다. 입점점포나 임시점포나 고객이 결제한 금액은 홈플러스로 간 뒤 수수료 등을 제외하고 본사가 정산을 받아 매장에 돌려주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남씨가 현재 홈플러스에서 받아야 할 금액은 1억2000여만원에 달한다.

‘티메프’ 사태를 떠올리는 것은 괜한 걱정이 아니다. 티몬과 위메프는 지난해 대규모 미정산 사태 직전 각종 세일로 결제액을 올렸다. 홈플러스는 창립세일이라는 명목으로 ‘연중 최대 할인 홈플런’을 12일까지 열고 있는데, 이후에도 추가 할인행사로 2주간 ‘앵콜 홈플런’을 진행할 예정이다. 남씨는 “점주들끼리 망조난 회사가 ‘땡처리하나’라고 웃지 못할 농담도 한다”며 “기업회생은 정상화를 위한 목적이라고 한 만큼, 원활한 대금지급으로 점주들부터 살려야 한다. 홈플러스가 설마 ‘배신’할까요”라고 말했다.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에 롯데칠성의 생수 제품이 빠져 있다. 이성희 기자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에 롯데칠성의 생수 제품이 빠져 있다. 이성희 기자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에서 직원이 과자제품을 진열하고 있다. 진열대 곳곳이 비어있으며 기존 제품도 듬성듬성 진열돼 있다. 이성희 기자

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에서 직원이 과자제품을 진열하고 있다. 진열대 곳곳이 비어있으며 기존 제품도 듬성듬성 진열돼 있다. 이성희 기자

고객들 “부침 많았던 홈플러스, 잘 해결되길”
A매장은 실적 부진으로 향후 영업종료가 예정돼 있던 곳으로, 입점점포 점주들은 이번 기업회생절차로 폐점 시점이 빨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분식점을 운영 중인 장모씨62는 “답답하다”면서도 “다른 방법이 없잖아. 기다릴 수밖에 없어요. 잘 해결되길 기대해요. 이 많은 식구들을 당장 어떻게 하나”라고 말했다.

서울의 다른 홈플러스 매장도 분위기는 비슷했다. B매장은 최근 식품관을 리뉴얼해 홈플러스에서도 매출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한 고객은 “유동골뱅이와 삼진어묵을 찾는데 없다. 다른 마트로 가야겠다”며 “원하는 제품이 이렇게 계속 없으면 손님이 계속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B매장 내 가전제품 점포 직원 홍모씨37는 “아무리 평일이라지만 손님이 너무 없다. 내가 고객이라고 해도 안 올 것”이라며 “망한다는데 누가 오겠나. 요즘 오는 손님들은 상품권 소진을 위해 찾는 경우 정도”라고 전했다.

이번 사태로 홈플러스가 정상화되기를 바라는 고객들도 적지 않았다. B매장 인근에서 오래 살았다는 이모씨54는 지난 30년간 홈플러스가 여러 번 주인이 바뀐 부침 과정을 잘 안다면서 “매장은 남고 또 이름만 바뀌지 않겠나. 이번에는 잘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보물’인 줄 알았는데 ‘장물’이었다…조선 형법 근간 ‘대명률’ 지정 취소
· 민주당 박홍배, 오늘 삭발식…“윤석열 조기파면 촉구”
· “검찰 비웃듯 명태균도 구속 취소 신청”
· 경북 칠곡 한 아파트서 어머니와 아들 각각 숨져···경찰 수사
· 한동훈 “서로 절제하던 87년체제, ‘조국 사태’로 깨졌다”
· “고교학점제 대비? 어머니 이미 늦으셨어요” 학부모 불안 파고든 ‘650만원 컨설팅’
· [단독] 기재부 ‘세수결손 돌려막기’···산재기금까지 털었다
· 최상목, 헌재 폭동 선동에 “법과 원칙에 따라 엄단”
· 김문수 “윤 대통령 직무 복귀 가능성 높아···공수처 없어져야”
· ‘월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 ‘5만명’…여성은 ‘2%’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91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48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