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인허가·착공 급감…3년 뒤 공급 부족 집값 시한폭탄 되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주택 인허가·착공 급감…3년 뒤 공급 부족 집값 시한폭탄 되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3-08-02 21:45

본문

뉴스 기사


상반기 작년보다 면적 기준 건설 인허가 22% 줄고 착공 38% ‘뚝’

고물가로 공사비 증가·고금리로 PF 위축 탓…향후 수급 불안 우려

주택 공급의 선행지표로 알려진 건축 인허가, 착공 실적이 올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하락했다. 공사비 증가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부담 등으로 건설업이 얼어붙으면서 생긴 파장인데, 3년 뒤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 불안이 불거질 수 있다. 집값이 자극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2일 국토교통부가 올 상반기 전국 건축 허가·착공·준공 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인허가와 착공 면적은 각각 22.6%, 38.5% 감소했다.

동수 기준으로도 인허가는 26.6%, 착공은 28.7% 줄었다.

주택법에 따르면 사업주체는 사업계획 승인인허가 이후 5년 이내에 착공을 해야 한다. 대개 1~2년 내에 착공에 들어가고 이후 분양을 통해 준공입주까지 3년이 소요된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인허가와 착공이 모두 크게 줄었다는 것은 빠르면 3년 내 공급 부족으로 집값과 전셋값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현황 통계를 보면, 상반기 허가 면적은 7203만㎡로 전년 동기 대비 22.6% 감소했다. 동수는 26.6% 감소한 7만7501동이었다. 용도별로 보면 상업용-28.0%, 주거용-22.7%, 기타-21.3%, 공업용-18.3%, 교육 및 사회용-8.9% 순으로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084만㎡로 전년보다 24.8% 줄어 지방4119만㎡, -20.8%보다 감소폭이 컸다. 다만, 인천 87.9%, 울산 11.7%, 대전 5.9%, 부산 5.2% 등 4개 지자체에서는 건축 허가 면적이 증가했다. 인천을 살펴보면 공업용과 주거용이 각각 68%, 57.6% 늘어 상승을 주도했는데 주거 가운데선 특히 아파트가 전년 대비 65%가량 크게 늘며 170만㎡ 면적을 기록했다. 이밖에 13개 시·도에서는 건축 허가 면적이 감소했다.

선행지표인 인허가는 향후 분양 전망이나 부동산 가격 추이를 반영한다. 수도권과 주거용에서 감소폭이 크다는 것은 부동산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다는 신호다. 고물가로 원자재값이 상승해 건설비가 오르고 금리 인상으로 자본 조달 유동성이 떨어진 것이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착공은 전년 동기 대비 38.5% 감소한 3592만㎡, 동수는 28.7% 감소한 5만8475동이었다. 수도권-39.1%과 지방-38% 모두 감소했다. 지자체 기준으로 대전4.1% 1곳에서만 착공 면적이 증가하고 나머지 16개 시·도에서 모두 착공 면적이 줄었다.

준공의 경우는 면적이 3.3% 소폭 상승했지만 동수 기준에선 13.1% 줄었다. 동수가 줄고 면적이 증가했다는 것은 규모가 큰 건축물 위주로 지어졌다는 의미다. 준공이 소폭 상승한 것은 2년 전 부동산 경기 활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용도별로 봐도 주거용은 16.6%가량 증가했다.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울산 86.3%, 경북 48.1%, 대구 41.9%, 인천 22.2%, 세종 20.8%, 전북 10.6%, 충북 9.6%, 서울 4.7%, 경기 3.0%, 전남 2.0% 순으로 10개 시·도에서 준공 면적이 증가했다. 반면 광주, 대전, 강원, 충남, 경남, 부산, 제주는 준공 면적이 감소했다.

윤지원 기자 yjw@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민주당 ‘리스크’ 된 ‘김은경 혁신위’
· 교사·학부모 갈등 연구만 38년…오노다 교수 “새로운 제도보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
· 주호민 “특수교사 신고 후회…선처 탄원서 제출할 것”
· LH는 LTV 미적용, 산은은 저금리 대출…공공기관 47곳 사내대출 규정 안지켜
· ‘세이노의 가르침’ 열풍 왜···‘라떼’는 싫지만 ‘길거리 지식’엔 목말라
· [영상] 트뤼도, 한국 구호대 귀국 비행기 올라 “감사합니다” 한국어 인사
· [단독]수십억 ‘재건축 수익’ 이동관…아내는 ‘지분 1%’ 재건축조합 대의원
· 국내 개발 성공했다는 꿈의 소재 ‘상온 초전도체’ 실체는
· 길가다 마주친 내 바디프로필 사진, 손해배상 가능할까?
· 검찰, ‘미성년자 성폭행’ 신대방팸 일당 구속기소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69
어제
971
최대
2,563
전체
419,84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