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할 주식만 골라 사는 한국인들"…美 전문가 작심 비판
페이지 정보

본문
美 자산운용사 아카디안 한국개미 비판
"오징어게임 같은 투자 결말 좋지 않아"
"오징어게임 같은 투자 결말 좋지 않아"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연합뉴스
"미국 주식시장에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 개미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시장이 점점 한국화하고 있다."미국 주식시장에서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쏠림, 특정 섹터 주식의 급등락 등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나는 배경에 한국 개인 투자자서학 개미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미국 자산운용사 아카디안의 오웬 라몬트 수석 부사장은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The Squid Game stock market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투자 성향이 미국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주식시장이 한국화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유액이 지난해 기준 1121억 달러약 163조원로 미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62조 달러의 0.2%에 불과하지만, 특정 틈새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이 급등한 사례를 언급하며, 지난해 말 한국 투자자들이 1억 1100만 달러약 1610억원를 집중 매수한 리게티 컴퓨팅이 한 달 만에 주가가 1400% 폭등한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현재 해당 주식은 고점 대비 55% 하락했다.
아울러 한국 투자자들이 인공지능AI 관련 주식, 소형모듈식 원자로SMR 관련 기업, 가상자산 및 레버리지 ETF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을 키웠다고 분석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투자자들이 주식시장 붕괴 직전에 특정 종목을 집중 매수하는 패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8년 리먼브라더스 붕괴 직전, 2018년 볼마게돈Volmageddon 사태, 니콜라 사기 의혹,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 등 미국 금융 역사의 재앙 직전에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관련 종목 매수가 급증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투자 행태를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 비유하며, "오징어 게임 참가자들이 규칙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위험한 게임에 뛰어들듯, 한국 투자자들도 빠르게 부자가 되기 위해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에 나선다"며 "대부분 좋지 않은 결말을 맞이한다"고 경고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사에서 손실을 본 개인 투자자 그룹을 언급하며 "1989년 일본 샐러리맨, 1999년 성장 펀드 투자자들, 2021년에는 밈 주식을 매수한 로빈후드 투자자들이 그랬듯, 오늘날은 한국 개인 투자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 세계 개인 투자자들에게 지루하더라도 인덱스 펀드를 매수하는 것이 낫다"며 "오징어 게임에 참가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최선의 결정은 아예 참가하지 않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아카디안 자산운용은 1986년 설립된 글로벌 퀀트 헤지펀드로, 현재 약 1170억 달러약 169조 원를 운용하고 있다. 라몬트 부사장은 경제학 박사로 예일대,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 및 하버드대 강사를 역임한 금융시장 전문가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서울 가락동 가락쌍용1차 59㎡ 12억2000만원에 거래 25.03.14
- 다음글구제역 청정지역 전남서 첫 발병…확산 차단 총력 25.03.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